40대 남성의 미혼율이 큰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자료집에 따르면 1985년 1.4%였던 40세 남성의 미혼율이 2010년에는 무려 14.8%로 늘어났다. 1985년 0.2%였던 45세 미혼율은 2010년 7.7%로, 49세 남성 미혼율도 같은 시기 0.3%에서 4.4%로 뛰었다.
2010년 기준으로 고졸 미만의 미혼자 비중은 22.0%, 대졸 이상의 미혼자 비중은 4.3%로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눈에 띄었다. 또한 40대 남성 미혼자 중 27.4%는 미취업자로 조사됐다.
40대 여성의 미혼율은 남성의 절반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1985년에서 2010년 사이 여성의 미혼율은 40세의 경우 1.1%에서 7.0%, 45세는 0.7%에서 3.1%, 49세는 0.3%에서 1.2%로 각각 늘어났다. 아울러 여성은 대졸자 이상의 미혼율이 높아 남성들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상태에 있는 남성들이 결혼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취약 집단에 대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정책은 저출산 문제 해결의 방편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5일 한국노동연구원이 펴낸 자료집에 따르면 1985년 1.4%였던 40세 남성의 미혼율이 2010년에는 무려 14.8%로 늘어났다. 1985년 0.2%였던 45세 미혼율은 2010년 7.7%로, 49세 남성 미혼율도 같은 시기 0.3%에서 4.4%로 뛰었다.
2010년 기준으로 고졸 미만의 미혼자 비중은 22.0%, 대졸 이상의 미혼자 비중은 4.3%로 저학력 남성의 미혼율이 눈에 띄었다. 또한 40대 남성 미혼자 중 27.4%는 미취업자로 조사됐다.
40대 여성의 미혼율은 남성의 절반 이하인 것으로 조사됐다. 1985년에서 2010년 사이 여성의 미혼율은 40세의 경우 1.1%에서 7.0%, 45세는 0.7%에서 3.1%, 49세는 0.3%에서 1.2%로 각각 늘어났다. 아울러 여성은 대졸자 이상의 미혼율이 높아 남성들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
한국노동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이번 통계는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상태에 있는 남성들이 결혼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취약 집단에 대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정책은 저출산 문제 해결의 방편이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