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노인보행자 사망건수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찰에 신고된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교통사고 2만5,376건을 분석한 보고서를 지난달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는 1,752명으로 전체 사망자 5,505명의 31.8%를 차지했다. 특히 이들 노인 사망자 중에서 보행 시 생명을 잃은 경우는 전체 보행 사망자 2,082명 중 절반수준인 966명에 달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10만명 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8.3명으로 아이슬란드 ‘0’명과 큰 대조를 이뤘다. 이는 OECD 가입국 평균치인 3.5명 보다도 약 5배 높은 것으로 29개국 중 최상위 수준이다.
한편 노인보행 사망자의 22.3%는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노인보행 사망자수의 57.0%는 도로를 횡단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보행사망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안전의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운전자는 안전 운전을 해야 하며, 노인들의 경우 해질녘에는 밝은 색이나 반사재질의 옷을 입어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경찰에 신고된 도로교통사고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 교통사고 2만5,376건을 분석한 보고서를 지난달 3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는 1,752명으로 전체 사망자 5,505명의 31.8%를 차지했다. 특히 이들 노인 사망자 중에서 보행 시 생명을 잃은 경우는 전체 보행 사망자 2,082명 중 절반수준인 966명에 달했다.
더욱이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10만명 당 보행 중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8.3명으로 아이슬란드 ‘0’명과 큰 대조를 이뤘다. 이는 OECD 가입국 평균치인 3.5명 보다도 약 5배 높은 것으로 29개국 중 최상위 수준이다.
한편 노인보행 사망자의 22.3%는 오후 6시부터 8시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노인보행 사망자수의 57.0%는 도로를 횡단하다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노인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보행사망자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안전의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라며 “운전자는 안전 운전을 해야 하며, 노인들의 경우 해질녘에는 밝은 색이나 반사재질의 옷을 입어 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