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10월 남은 기간 동안 사고성 사망재해 예방을 위한 캠페인을 집중 실시한다고 밝혔다.
산업재해 중 개인의 질병이 아닌 돌발성 사고로 사망한 재해는 7월말 현재 52,713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7.9%(4,504명) 감소했다. 하지만 사고성 사망자는 전년 동기 대비 6.7%(49명) 증가하면서 사고성 사망재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 대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집중 캠페인은 고용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유관기관, 지자체 합동으로 전국에 걸쳐 진행된다. 각 기관이 모여 전국적으로 캠페인을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용노동부는 지역별 사망재해 취약지역 및 업종 등을 선정하여 안전결의대회, 사진전시회, 안전수칙 리플렛배부 등의 행사를 펼쳐 근로자들의 안전수칙 준수 분위기를 조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소규모 건설현장에는 릴레이 방식으로 안전시설 우수현장을 표창하는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음식배달업 등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업종들에 대해서는 해당 정부기관 및 직능단체들과 합동으로 대대적인 캠페인 활동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고용노동부 문기섭 산재예방보상정책관은 “산재예방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규모 건설현장에는 사고성 사망재해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정부의 재해예방 대책도 중요하지만, 안전은 현장 근로자와 사업주의 의식이 더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근로자들에게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산업재해 중 개인의 질병이 아닌 돌발성 사고로 사망한 재해는 7월말 현재 52,713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7.9%(4,504명) 감소했다. 하지만 사고성 사망자는 전년 동기 대비 6.7%(49명) 증가하면서 사고성 사망재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그 대책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이번 집중 캠페인은 고용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유관기관, 지자체 합동으로 전국에 걸쳐 진행된다. 각 기관이 모여 전국적으로 캠페인을 개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용노동부는 지역별 사망재해 취약지역 및 업종 등을 선정하여 안전결의대회, 사진전시회, 안전수칙 리플렛배부 등의 행사를 펼쳐 근로자들의 안전수칙 준수 분위기를 조성해나간다는 계획이다.
그리고 소규모 건설현장에는 릴레이 방식으로 안전시설 우수현장을 표창하는 등의 행사를 진행하고, 음식배달업 등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업종들에 대해서는 해당 정부기관 및 직능단체들과 합동으로 대대적인 캠페인 활동을 펼쳐나간다는 방침이다.
고용노동부 문기섭 산재예방보상정책관은 “산재예방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소규모 건설현장에는 사고성 사망재해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전하면서 “정부의 재해예방 대책도 중요하지만, 안전은 현장 근로자와 사업주의 의식이 더 중요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라고 근로자들에게 안전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