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교육과 체계적 안전관리 필요성 높아져
최근 5년 동안 대학교 연구·실험실 안전사고가 무려 11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선진당 이상민 의원은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대학 및 연구기관 연구실 안전사고 현황’을 제출받아 분석한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6년 ‘연구실안전환경조성법’ 시행 이후 올 6월까지 전국 71개 대학 및 15개 연구기관에서 모두 509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 가운데 대학은 466건으로 91.5%를 차지, 여전히 안전사각지대임을 보여줬다. 사고건수도 2006년 9건에서 2007년 31건, 2008년 114건, 2009년 164건, 2010년 102건, 2011년 6월 46건 등으로 5년 동안 무려 11배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학별로는 건국대 33건, 한양대 28건, 경북대 27건, 충남대 23건, 서울과기대 22건, 고려대 21건, 강원대 18건, 경상대·경희대 각 16건, 서울대·한경대 각 15건 순이었다.
이 의원은 “연구실 안전법안에 대한 인지도가 낮고 안전교육도 형식적으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대학의 안전관리 수준이 체계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나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