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까지 중증외상센터 전국 총 16개소 설치
중증외상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시설인 중증외상센터가 대거 늘어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중증외상센터를 2016년까지 단계적으로 확대·설치하여, 2016년까지 전국에 총 16개소를 짓겠다고 최근 밝혔다.
중증외상센터는 교통사고, 추락 등에 의한 다발성 골절·출혈 환자에 대해 365일 24시간 언제든 병원도착 즉시 응급수술 및 치료를 실시할 수 있는 외상전용 치료센터를 말한다.
외상환자 예방가능 사망률이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10~15% 높은 우리나라 상황에선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다양한 의료인력의 투입, 장기간의 환자재원기간 등이 의료인 및 병원경영에 부담을 준다는 이유로 그동안 국내 의료계에서 설치를 기피해 왔다. 때문에 국가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그동안 개진되어 왔는데, 이번에 그 결실이 맺어진 것이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중증외상환자 진료체계의 경우 외상전용 중환자실과 외상전담 전문의사가 부족한 것이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할 문제”라며 “2016년까지 약 2천억원을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중증외상환자 치료환경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어떻게 추진되나?
정부는 지난달 27일 발표된 2012년도 예산안에서 중증외상관련 예산 400억원을 확정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예산에서도 응급의료기금계획 변경을 통해 당장 하반기에 160억원을 집행키로 했다. 이같은 예산을 기반으로 정부는 2016년까지 총 16개소의 중증외상센터를 전면 운영하고, 그 이후에는 인구규모 등 수요에 따라 추가 설치를 검토키로 했다.
우선 올해의 경우 10월 공모를 통해 각 시도별로 1개소씩 총 15개소(13년 개소예정 부산대 제외)의 중증외상센터 후보기관을 정한다는 것이 복지부의 방침이다.
허영주 복지부 응급의료과장은 “주요 권역별 외상체계가 완성되면, 예방가능한 외상사망률도 현재 35%에서 선진국 수준인 20%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