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부터 정부 각종 문서에 새로운 국새가 사용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제5대 국새를 공개했다. 5대 국새는 금·은·구리·아연·이리듐으로 구성된 금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희귀금속인 이리듐을 첨가, 성분간 조직을 치밀하게 해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였다는 게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또 현재 사용하고 있는 3대 국새보다 가로·세로 길이가 0.3cm씩 커진 10.4cm로 만들어졌다. 무게도 2.15kg에서 3.38kg로 늘어났다.
아울러 새 국새는 내부를 비우고 손잡이 부분인 인뉴와 아랫부분인 인문을 한 번에 주조한 중공일체형(中空一體型)으로 제작됐다. 행안부는 국새의 상업적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달 특허청에 디자인 등록 출원 신청을 마쳤다.
이서행 국새제작위원장은 “5대 국새는 도장으로써의 품격과 실용성, 예술성 등의 가치를 최대한 높인 뛰어난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새 국새는 대통령 재가 등 국새규정 개정작업이 마무리되면 공고를 거친 후 훈·포장증, 외교문서 등에 사용하게 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정부중앙청사에서 제5대 국새를 공개했다. 5대 국새는 금·은·구리·아연·이리듐으로 구성된 금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희귀금속인 이리듐을 첨가, 성분간 조직을 치밀하게 해 균열을 방지하는 효과를 높였다는 게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
또 현재 사용하고 있는 3대 국새보다 가로·세로 길이가 0.3cm씩 커진 10.4cm로 만들어졌다. 무게도 2.15kg에서 3.38kg로 늘어났다.
아울러 새 국새는 내부를 비우고 손잡이 부분인 인뉴와 아랫부분인 인문을 한 번에 주조한 중공일체형(中空一體型)으로 제작됐다. 행안부는 국새의 상업적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 지난달 특허청에 디자인 등록 출원 신청을 마쳤다.
이서행 국새제작위원장은 “5대 국새는 도장으로써의 품격과 실용성, 예술성 등의 가치를 최대한 높인 뛰어난 작품”이라고 강조했다.
새 국새는 대통령 재가 등 국새규정 개정작업이 마무리되면 공고를 거친 후 훈·포장증, 외교문서 등에 사용하게 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