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대강 사업 현장에서 석면이 검출됐다는 주장이 또 다시 제기됐다. 4대강 사업 현장에 석면 자재 사용 관련 의혹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4번째다.
민주당 등 야 3당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지난 12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 안동시 낙동강 일대 4대강 사업 현장에서 석면 사문석이 사용됐으며 시료 분석 결과 0.5%의 석면 농도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민주당 이미경 의원은 “안동시 단호리 일대 낙동강 좌안 약 3km에 걸쳐 설치되는 낙동강살리기 홍수방지제방에 보조기층재로 석면 사문석이 사용됐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의원은 “현장조사 결과 백석면 원석이 발견됐고 시료를 갈아 분석하니 0.5%의 석면 농도가 검출됐다”고 덧붙였다.
이날 야 3당과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제방 위에 3km에 달하는 문화생태탐방로 및 자전거길이 조성 중에 있는데, 이곳에 사문석을 원료로 한 콘크리트 레미콘이 사용됐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안동대교 부근 낙동강 일대에 조성 중인 자전거길에서 석면이 검출되자 수자원공사가 지난 5일 석면자재를 완전히 제거했다고 밝혔다”면서 “하지만 5일 오후 채취한 현장 시료에서는 여전히 백석면이 검출됐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지난해 충북 제천시 소재 한강살리기15공구와 충주시 소재 한강살리기 8공구 등에서 석면자재가 사용되다 모두 회수조치된데 이어 이번에 낙동강 일대 현장 2곳에서도 석면이 검출됐다”면서 “4대강 사업이 환경과 안전에 대한 고려 없이 진행되고 있다는 우려를 지울 수 없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참석자들은 정부가 전체 4대강 현장에 대한 석면 등 위해물질 사용여부를 전면조사한 후 대책을 마련해 줄 것과 석면자재의 운반 및 포설에 동원된 근로자들에 대한 석면노출검사를 실시해 줄 것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