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경부, 주요 감축 대상기업 간담회 개최

산업계가 정부에 온실가스·에너지 감축 목표를 초과달성하면 인센티브를 달라고 요구했다.
지식경제부는 지난 20일 온실가스 감축과 관련, 산업계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포스코, 삼정전자 등 주요 감축 대상 기업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경부는 올해가 온실가스·에너지 감축 목표를 부여하는 첫 해인만큼 대상 기업의 감축이행계획수립실태를 점검하고, 이에 따른 대상기업의 애로사항을 듣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참석한 업체들은 철강, 전자, 시멘트, 정유 등 개별업종특성을 반영하여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하고 있음을 밝혔다.
업종별 계획을 살펴보면 철강업계는 일괄제철 에너지진단을 통한 절감방안을 도출하는 한편 전기로에서 쓰이는 B-C유를 LNG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에 있다.
또 전자업계는 전사적인 온실가스·에너지관리 IT 시스템의 구축과 PFCs, SF6 분해설비의 도입을 추진 중에 있다. 시멘트업계는 소성공정 개선을 필두로 슬래그 등 시멘트 대체재 활용을 통한 클링커 생산량 감축 등을 검토하고 있다. 정유업계는 LNG로의 연료전환,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추진 중에 있다.
업계, 건의사항 적극 개진
이번 간담회에서 업계는 정부에 다양한 애로 및 건의사항 등을 제시했다.
먼저 업계는 경기변동에 따른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생산량변동을 반영할 수 있는 사후조정방식을 도입해 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또 업계는 업체별 특성을 반영한 감축계수를 적용해 줄 것과 목표초과달성시 인센티브를 부여해 줄 것 등도 건의했다.
이밖에 업계는 정부가 산업계가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기술 R&D에 동참해 줄 것과 계측기 구입 등 온실가스 감축활동에 소요되는 각종 비용을 지원해 줄 것 등을 요청했다.
이에 정재훈 지경부 에너지자원실장은 “향후 산업계와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관련 제도를 개선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내년에 기업이 에너지절약시설 등에 투자할 경우 약 6,000억원 규모의 융자를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