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피해(광해) 방지기술로 우면산 산사태와 같은 도시재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도시재난 예방 및 건축, 토목구조물 안전관리 기술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심연식 광해기술연구소장은 “광해 방지기술의 조기계측 및 경보기능은 온도와 미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케이블에 최대 200개 가량 장착한 뒤 온도와 진동의 변화를 원격 계측하고 경보하는 방식으로 그간 국내 광산현장에 적용돼 왔다”라며 “이 광해 방지기술이 재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면 산사태 등과 같은 재난 피해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해방지기술로 산사태, 도로사면 붕괴, 지반침하, 각종 구조물 훼손 등 재난의 초기징후를 파악하고 진행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 계측할 수 있어 돌발적인 도시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안철현 박사는 “광해방지 기술의 조기 계측 및 경보 기능은 산사태 등 자연재난을 비롯해 국가 기반 시설인 철도, 댐, 교량 등의 구조물 안전 계측에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광해관리공단은 지난달 27일 서울시의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도시재난 예방 및 건축, 토목구조물 안전관리 기술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심연식 광해기술연구소장은 “광해 방지기술의 조기계측 및 경보기능은 온도와 미세한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케이블에 최대 200개 가량 장착한 뒤 온도와 진동의 변화를 원격 계측하고 경보하는 방식으로 그간 국내 광산현장에 적용돼 왔다”라며 “이 광해 방지기술이 재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면 산사태 등과 같은 재난 피해를 줄이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해방지기술로 산사태, 도로사면 붕괴, 지반침하, 각종 구조물 훼손 등 재난의 초기징후를 파악하고 진행상황을 원격지에서 실시간 계측할 수 있어 돌발적인 도시재난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어 안철현 박사는 “광해방지 기술의 조기 계측 및 경보 기능은 산사태 등 자연재난을 비롯해 국가 기반 시설인 철도, 댐, 교량 등의 구조물 안전 계측에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