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사고가 발생했을 때 여성 운전자가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남성보다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과 스페인 나바라 대학 합동연구팀은 미 공중보건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남녀의 운전습관 차이 때문에 상해도에 차이가 있다는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자동차안전 장치가 남성 위주로 설계돼 있어 여성 운전자가 더 많이 다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발생한 자동차 사고를 분석한 결과, 안전벨트를 했을 때 여성 운전자가 남성보다 심각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47%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구팀은 여성의 목 크기가 남성과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채 운전석 머리 지지대를 설계한 것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여성의 앉은키가 남성에 비해 낮기 때문에 얼굴 부상의 위험이 높다는 점도 지적했다.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여성 운전자들의 상해 감소를 위해 자동차 안전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버지니아 대학과 스페인 나바라 대학 합동연구팀은 미 공중보건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남녀의 운전습관 차이 때문에 상해도에 차이가 있다는 이전의 연구결과와는 달리 자동차안전 장치가 남성 위주로 설계돼 있어 여성 운전자가 더 많이 다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이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발생한 자동차 사고를 분석한 결과, 안전벨트를 했을 때 여성 운전자가 남성보다 심각한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47%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연구팀은 여성의 목 크기가 남성과 다르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은채 운전석 머리 지지대를 설계한 것도 문제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여성의 앉은키가 남성에 비해 낮기 때문에 얼굴 부상의 위험이 높다는 점도 지적했다.
연구팀의 한 관계자는 “여성 운전자들의 상해 감소를 위해 자동차 안전장치에 대한 효과적인 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