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말까지 전국적인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예정

앞으로 체계적인 승강기 안전관리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등 승강기 안전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43억원을 투입, 전국 승강기 43만여대에 고유 식별 번호를 부여할 계획이다. 또 이를 활용해 승강기에 대한 각종 규격, 제원, 유지관리, 사고 현황 등 모든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승강기종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라고 7일 밝혔다.
행안부는 먼저 올해 12월까지 서울 종로구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시스템을 구축하고, 2012년 말까지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승강기종합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승강기 주요 부품 등의 내구연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유지 보수가 쉬워질 것으로 보인다. 또 승강기 위치 정보가 긴급구조기관, 보수업체, 검사기관 등과 함께 공유돼 승강기 안전사고 등 유사 시 대응이 수월해질 전망이다.
그동안 대형빌딩에서 갇힘 사고가 발생하면 사고 승강기의 위치를 알아내는 데만도 오랜 시간이 걸리고, 승강기 제조사나 모델을 모르다보니 적절한 개방 방법을 찾지 못해 강제로 문을 열다가 승강기가 망가지거나 승객들이 다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고유번호가 부착되면 일반 국민은 인터넷 또는 스마트폰(QR코드)을 이용해 승강기 설치정보, 검사이력, 위치정보 등을 쉽게 열람할 수 있어 자신이 이용하는 승강기 관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삼걸 행정안전부 2차관은 “승강기는 모든 국민이 매일 이용하는 생활 필수시설”이라며 “IT기술을 활용한 승강기종합정보시스템의 구축은 승강기 안전관리의 새로운 틀을 만드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