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근 주민 역학조사 시행

서울 월계동에서 인공방사성 물질이 검출돼 인근 주민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지난 1일 오후 7시 20분께 서울 노원구 월계동 한 아파트 앞 이면도로에서 방사능 수치가 주변보다 높다는 주민 신고가 접수돼 관계 당국이 조사에 나섰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신고자는 아파트 앞 도로 맨홀 부근에서 휴대용 측정기로 방사능 수치를 측정한 결과 3,000n㏜(나노시버트)로 주변보다 높게 나타나자 119에 신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는 해당 지점에 대한 방사능 수치를 재측정했다. 그 결과, 시간당 1,600n㏜의 방사능이 검출됐다. 이는 서울 대기의 평균 방사능 수치(108n㏜)보다 15배 가량 높은 것이다.
소방당국은 시간당 1,600nSv 방사능은 인체에 영향을 미칠만한 수준이 아니라고 일단 주민들을 안심시켰다.
하지만 환경운동연합은 “해당 주택가에서 자체 계측을 벌인 결과 오래된 아스팔트를 중심으로 방사선량이 시간당 최대 2,500n㏜로 나타났다”며 “이는 체르노빌의 방사선 관리기준으로 볼 때 강제이주 조치를 취해야 할 정도의 수치”라고 반박했다.
방사선량 검출 원인 ‘아스팔트’로 추정
한편 이번 사태의 원인은 아스팔트 재료에 포함된 방사능 때문인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2일 도로 포장 아스팔트나 골재 원재료에 방사능이 포함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KINS는 이날 오전 11시 30분께부터 약 4시간 가량 공간감마선량률계와 감마핵종분석기 등을 동원해 방사선이 검출된 일대에 대해 정밀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해당 지역 26곳에서 측정된 최고 방사선 준위는 1,400n㏜로 나타났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임상적으로 유의한 증상이 나타나는 누적 피폭선량이 0.5㏜인 것을 감안하면 그다지 위해하지 않은 양”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등은 기자회견을 열고 당국의 발표를 정면 반박했다. 이들 단체는 “오염된 아스팔트가 포장된 것은 최소 5년 전으로 주민들이 장기간 방사선에 노출됐을 우려가 큰 상황”이라며 “서울시내 다른 지역에도 오염 아스팔트가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전면적인 실태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주민들의 불안이 가중되자 서울 노원구는 방사능 이상수치가 검출된 월계동 2개 도로를 전면 재포장하기로 했다.
구 관계자는 “방사능 수치가 인체에 해가 없는 수준이지만 가중되는 주민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재포장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서울시, 아스팔트 도로 방사선량 조사 확대
이처럼 노원구 월계동의 아스팔트 도로에서 이상 수치의 방사선량이 검출되자 서울시는 후속 조치에 들어갔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000년 이후에 만들어진 서울 시내 아스팔트 도로 전부에 대한 방사선 검출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환경단체들이 방사선 발생의 원인으로 ‘폐아스콘’을 지목했는데, 이 ‘폐아스콘’이 아스팔트원료로 사용된 것이 지난 2000년부터이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조사 대상 도로가 최소 2,500곳 이상이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 시장은 노원구 월계동 907번지 일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방사능이 인체에는 영향이 없는 정도의 소량이라 하더라도 시민의 불안을 해소하는 것이 서울시의 책임이라 생각한다”라며 “방사능에 오염된 물질이 어디서 유입됐는지, 또 어느 지역에서 공사됐는지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