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의 상거래에서 흔히 주고받는 종이 영수증. 품목과 가격 등 짧은 문구 몇 개가 인쇄되어 있을 뿐인 이 작은 종이 조각이 올 여름 수많은 소비자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종이 영수증에서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비스페놀A가 검출됐다는 한국소비자원의 발표가 나왔던 것. 접촉이 많은 영수증 업무담당자와 어린 아이를 제외한 대다수 일반 소비자에게는 무해한 수준이라고 했지만 국민들의 우려는 쉽게 가라않지 않았다. 비스페놀A가 왜 위험한지 환경부의 도움을 얻어 자세히 살펴봤다.
Q. 비스페놀A는 어떤 물질?
비스페놀A는 2개의 페놀과 1개의 아세톤을 반응시켜 합성한 고체물질로, 흰색의 광택이 난다. 비스페놀A는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나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만들 때 원료로 사용된다.
또 젖병, 물병 등의 제조에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통조림의 플라스틱 라이닝(금속 표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물질을 덧바르거나 붙이는 작업)에 쓰이기도 한다. 이밖에 종이영수증, 순번대기표 등의 감열지에 발색촉매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Q. 어디서, 어떻게 배출되나?
주로 화학 및 섬유제품의 제조과정이나 이 물질을 함유한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배출된다. 또 플라스틱 재질의 컵, 젖병 등이 가열됐을 때 해당 용기가 담고 있는 내용물에 용해되어 배출되기도 한다. 이밖에 플라스틱 포크나 나이프 등이 뜨겁고 기름진 음식에 닿게 될 때 식품으로 용해되어 배출될 가능성도 있다.
환경 중으로 배출된 비스페놀A는 호흡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해 우리 몸속으로 흡수된다. 흡수된 비스페놀A는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
Q. 어떤 영향을 일으키나?
비스페놀A는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생물체의 정상적인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감소시키는 것. 때문에 비스페놀A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남성은 발기부전이나 무정자증 등의 질환에 걸릴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성조숙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Q.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
환경부는 비스페놀A를 유해성의 우려가 있는 물질, 즉 관찰물질로 지정하여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로 하여금 제조·수입예정량, 주요 용도 등을 환경부 장관에게 신고토록 하고 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비스페놀A와 관련 판매하거나 영업에 사용 하는 기구 및 용기·포장에 함유 기준 및 규격을 정하여 고시하고 있다. 또 식약청은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나 금속제에 대해 비스페놀A 용출 규격도 정해 놓았다.
자료제공 : 환경부 화학물질과
종이 영수증에서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비스페놀A가 검출됐다는 한국소비자원의 발표가 나왔던 것. 접촉이 많은 영수증 업무담당자와 어린 아이를 제외한 대다수 일반 소비자에게는 무해한 수준이라고 했지만 국민들의 우려는 쉽게 가라않지 않았다. 비스페놀A가 왜 위험한지 환경부의 도움을 얻어 자세히 살펴봤다.
Q. 비스페놀A는 어떤 물질?
비스페놀A는 2개의 페놀과 1개의 아세톤을 반응시켜 합성한 고체물질로, 흰색의 광택이 난다. 비스페놀A는 주로 폴리카보네이트나 에폭시수지 등과 같은 플라스틱을 만들 때 원료로 사용된다.
또 젖병, 물병 등의 제조에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통조림의 플라스틱 라이닝(금속 표면이 녹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물질을 덧바르거나 붙이는 작업)에 쓰이기도 한다. 이밖에 종이영수증, 순번대기표 등의 감열지에 발색촉매제로 사용되기도 한다.
Q. 어디서, 어떻게 배출되나?
주로 화학 및 섬유제품의 제조과정이나 이 물질을 함유한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배출된다. 또 플라스틱 재질의 컵, 젖병 등이 가열됐을 때 해당 용기가 담고 있는 내용물에 용해되어 배출되기도 한다. 이밖에 플라스틱 포크나 나이프 등이 뜨겁고 기름진 음식에 닿게 될 때 식품으로 용해되어 배출될 가능성도 있다.
환경 중으로 배출된 비스페놀A는 호흡이나 음식물 섭취를 통해 우리 몸속으로 흡수된다. 흡수된 비스페놀A는 대부분 소변으로 배설된다.
Q. 어떤 영향을 일으키나?
비스페놀A는 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생물체의 정상적인 내분비계 기능을 방해하는 물질)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감소시키는 것. 때문에 비스페놀A에 과다하게 노출되면 남성은 발기부전이나 무정자증 등의 질환에 걸릴 수 있으며 여성은 기형아 출산, 성조숙증 등을 일으킬 수 있다.
Q.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
환경부는 비스페놀A를 유해성의 우려가 있는 물질, 즉 관찰물질로 지정하여 제조하거나 수입하려는 자로 하여금 제조·수입예정량, 주요 용도 등을 환경부 장관에게 신고토록 하고 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청은 비스페놀A와 관련 판매하거나 영업에 사용 하는 기구 및 용기·포장에 함유 기준 및 규격을 정하여 고시하고 있다. 또 식약청은 폴리카보네이트, 에폭시수지 등의 합성수지나 금속제에 대해 비스페놀A 용출 규격도 정해 놓았다.
자료제공 : 환경부 화학물질과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