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7년 이후 최대치 기록
지난 1년간 우리 국민이 실제로 쓸 수 있는 소득에서 가계 대출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7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말은 소비 가능한 소득이 100만 원이라고 할 때 대출로 갚아야 할 돈이 70만원이고, 실질적으로는 30만원 정도밖에 쓸 수 없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경제 전문가들은 가계 소득이 크게 늘어날 조짐이 없는 현 상황에서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금 상환 압력이 들어온다면 과다부채 가구를 중심으로 가계가 쓰러질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1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은행과 비은행을 포함한 가계대출 잔액은 826조원으로 해당 분기를 포함한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 1,204조6천억원의 68.6%를 차지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7년 이후 최대치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이란 국민총소득(GNI)에서 해외로 무상 송금한 금액을 제외하고 무상으로 받은 금액을 더한 것으로, 실제로 국민이 사용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한다. GNI는 국내 부가가치 생산량인 명목국내총생산(GDP)에 해외 이자ㆍ배당ㆍ근로소득 등 국외 순수취요소소득을 가감해 산출한다.
문제는 가계대출 비중이 뚜렷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그만큼 가계의 대출상환 능력이 떨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매년 6월 말을 기준으로 가계대출 잔액이 직전 1년간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차지한 비중은 2002년 52.0%로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이후 2003년 54.4%, 2004년 54.5%, 2005년 55.7%, 2006년 58.5%, 2007년 60.4%, 2008년 63.8%, 2010년 67.6%로 꾸준히 늘었다.
국민총처분가능소득에서 가계대출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595조3천억 원)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28조5천억 원)의 비중은 4.8%로 전년(3.9%)보다 0.9%포인트 증가했다.
참고로 상반기 국민총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대출 증가분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8년 5.5%에 달했다가 2009년 2.6%로 떨어졌으나 2년 연속 증가하면서 다시 2008년 수준에 근접하게 됐다.
가계대출 용도 1순위 ‘주택마련’
한편 우리나라 가계는 주로 거주주택 등 부동산을 마련하기 위해 담보대출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올해 3월말 1만가구를 대상으로 ‘2011년 가계금융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담보대출의 용도는 거주주택 마련(35.2%)이 가장 높았고, 사업자금마련(28.4%), 기타부동산 마련(21.0%)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대에서는 거주주택 마련 비중(55.5%), 60대 이상은 사업자금마련 비중(46.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신용대출의 경우 사업자금 마련, 생활비의 비중이 높았다.
대출기관별로는 은행(68.5%)의 비중이 가장 높았던 가운데, 그 뒤로는 비은행금융기관(23.9%), 저축은행(1.2%), 보험회사(3.6%), 기타(2.6%) 등의 순이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