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손상을 야기하는 원인 물질이 가습기 살균제인 것으로 최종 확인됐다.
이에 복지부는 11일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 등 6개 제품에 대해 수거 명령을 내리고, 나머지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서도 재차 사용중단을 권고했다.
정부로부터 강제 수거명령을 받은 가습기 살균제는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제조사 한빛화학) △세퓨 가습기살균제(버터플라이이펙트) △와이즐렉 가습기살균제(용마산업사) △홈플러스 가습기청정제(용마산업사) △아토오가닉 가습기살균제(아토오가닉) △가습기클린업(글로엔엠) 등이다.
동물실험에서 이들 제품을 흡입한 쥐의 폐 상태와 올해 초 폐손상으로 숨진 산모의 폐 상태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보건당국은 살균제의 주성분인 ‘PHMG 파스페이트’와 ‘PGH’라는 화학물질을 실험 쥐에 지속적으로 흡입한 결과 폐세포에 손상이 발생됐고, 이것이 누적되면서 폐조직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성 병변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순차적으로 모든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 동물흡입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6종 외의 가습기 살균제도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와 전국 보건소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질환 의심 사례 신고를 접수 받을 예정이다.
이에 복지부는 11일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 등 6개 제품에 대해 수거 명령을 내리고, 나머지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서도 재차 사용중단을 권고했다.
정부로부터 강제 수거명령을 받은 가습기 살균제는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제조사 한빛화학) △세퓨 가습기살균제(버터플라이이펙트) △와이즐렉 가습기살균제(용마산업사) △홈플러스 가습기청정제(용마산업사) △아토오가닉 가습기살균제(아토오가닉) △가습기클린업(글로엔엠) 등이다.
동물실험에서 이들 제품을 흡입한 쥐의 폐 상태와 올해 초 폐손상으로 숨진 산모의 폐 상태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밝혀졌다. 보건당국은 살균제의 주성분인 ‘PHMG 파스페이트’와 ‘PGH’라는 화학물질을 실험 쥐에 지속적으로 흡입한 결과 폐세포에 손상이 발생됐고, 이것이 누적되면서 폐조직이 딱딱하게 굳어지는 섬유화성 병변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순차적으로 모든 가습기 살균제에 대해 동물흡입실험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6종 외의 가습기 살균제도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한편 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 홈페이지와 전국 보건소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로 인한 폐질환 의심 사례 신고를 접수 받을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