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6명 이상은 우리 사회가 부패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1년도 부패인식·경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의 65.4%는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부패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51.6%)보다 사회부패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아진 것이다.
공직사회 부패에 대한 인식도 더 나빠졌다. 올해는 56.7%의 국민이 공직사회가 부패했다고 답해 전년도(54.1%)보다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유발 주체로는 정치인(56.6%)과 고위공직자(23.3%)를 가장 많이 지목했고, 부패가 주로 발생하는 행정기관으로는 중앙행정기관(33.3%)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패유형으로는 ‘직위를 이용한 알선·청탁’(31.4%)을 많이 선택했다.
한편 우리사회 부패수준에 대한 향후 전망도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특히 49세 이하 연령층(19.9%)의 경우 ‘부패가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이 50세 이상(30.9%)보다 적어 젊은 세대일수록 부패수준에 대한 미래 전망이 비관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부패문제 해결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부패행위에 대한 적발·처벌의 강화’(36.5%)가 가장 많이 꼽혔다.
권익위의 한 관계자는 “고위공직자의 부패고리 차단과 청탁문화 근절을 위해 ‘공직자의 부정한 사익추구 금지법(가칭)’을 조속히 제정할 것”이라며 “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시민단체와 연계한 ‘통합적 청렴실천운동’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2011년도 부패인식·경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국민의 65.4%는 한국 사회가 전반적으로 부패했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해(51.6%)보다 사회부패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아진 것이다.
공직사회 부패에 대한 인식도 더 나빠졌다. 올해는 56.7%의 국민이 공직사회가 부패했다고 답해 전년도(54.1%)보다 2.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패유발 주체로는 정치인(56.6%)과 고위공직자(23.3%)를 가장 많이 지목했고, 부패가 주로 발생하는 행정기관으로는 중앙행정기관(33.3%)을 가장 많이 꼽았다. 부패유형으로는 ‘직위를 이용한 알선·청탁’(31.4%)을 많이 선택했다.
한편 우리사회 부패수준에 대한 향후 전망도 ‘비관적’으로 보는 시각이 적지 않았다. 특히 49세 이하 연령층(19.9%)의 경우 ‘부패가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이 50세 이상(30.9%)보다 적어 젊은 세대일수록 부패수준에 대한 미래 전망이 비관적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향후 부패문제 해결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부패행위에 대한 적발·처벌의 강화’(36.5%)가 가장 많이 꼽혔다.
권익위의 한 관계자는 “고위공직자의 부패고리 차단과 청탁문화 근절을 위해 ‘공직자의 부정한 사익추구 금지법(가칭)’을 조속히 제정할 것”이라며 “청렴문화 확산을 위해 시민단체와 연계한 ‘통합적 청렴실천운동’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