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엘리베이터 설치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사고건수도 늘어남에 따라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엘리베이터는 2000년 이후 연평균 9%의 높은 설치대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그에 따라 1만대당 사고건수도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올해 9월 유례없는 정전사태 때에는 엘리베이터 관련 안전사고가 전국적으로 1,902건이나 발생한 바 있다.
특허청은 이같은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안전사고 방지와 관련된 특허출원 건수가 2000년 27건에서 2009년 77건으로 연평균 12.3%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설치대수 증가율을 상회하는 수치다.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상황을 감지하는 기술과 비상 전원을 공급해 구조·구출을 수행하는 기술 등 사고를 방지하거나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출원기술의 비중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 35.2%, 엘리베이터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기술 16.6%,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기술 16.2% 등이다.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2003년에는 외국인의 특허출원 비중이 40%를 상회해 다른 기술분야와 비교할 때보다 외국인의 출원 비중이 높았지만 2007년 이후에는 내국인 특허출원 비중이 7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의 한 관계자는 “건물 및 주택이 점점 고층화되면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기술개발 및 이와 관련한 특허출원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 엘리베이터는 2000년 이후 연평균 9%의 높은 설치대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그에 따라 1만대당 사고건수도 증가추세에 있다. 특히 올해 9월 유례없는 정전사태 때에는 엘리베이터 관련 안전사고가 전국적으로 1,902건이나 발생한 바 있다.
특허청은 이같은 상황에서 엘리베이터 안전사고 방지와 관련된 특허출원 건수가 2000년 27건에서 2009년 77건으로 연평균 12.3%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엘리베이터의 설치대수 증가율을 상회하는 수치다.
특허청에 따르면 최근에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상황을 감지하는 기술과 비상 전원을 공급해 구조·구출을 수행하는 기술 등 사고를 방지하거나 사고에 대처하기 위한 기술 출원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출원기술의 비중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기술 35.2%, 엘리베이터 속도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기술 16.6%, 엘리베이터를 제동하는 기술 16.2% 등이다.
출원인별로 살펴보면 2003년에는 외국인의 특허출원 비중이 40%를 상회해 다른 기술분야와 비교할 때보다 외국인의 출원 비중이 높았지만 2007년 이후에는 내국인 특허출원 비중이 70% 이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의 한 관계자는 “건물 및 주택이 점점 고층화되면서 엘리베이터 안전장치의 기술개발 및 이와 관련한 특허출원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