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율무차에서 다량의 세균이 검출돼 판매가 정지됐다.
서울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길거리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커피·율무차·생강차 등 위생취약 예상 음료 254건에 대해 위생점검을 실시했다. 점검결과 이 가운데 26건(10.2%)의 음료에서 기준치 이상의 세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별로는 율무차의 위생상태가 가장 불량했다. 조사대상 98건 가운데 23.5%에 해당하는 23건에서 세균이 검출된 것이다. 그 중 기준치(ml당 3,000이하)보다 60배나 많은 180,000마리의 세균이 나온 율무차도 있었다. 그 외 코코아·유자차·둥굴레차에서는 각각 1건씩 세균이 검출됐다.
한편 이번 점검에서는 길거리 자판기 6,305대 중 757대(12.0%)가 관련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반사례는 ‘무단철거·고장방치’가 407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위생상태 점검표 및 고장 시 연락처 등 표시사항 미기재’ 246건, ‘자판기 대수·운영자·설치 위치 변경 미신고’ 5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는 세균 수 기준을 초과한 자판기 26대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하고, 표시사항 미기재 등 위반사항이 경미한 자판기 324대는 행정지도 했다.
서울시는 지난 10월 17일부터 11월 25일까지 길거리 자판기에서 판매되는 커피·율무차·생강차 등 위생취약 예상 음료 254건에 대해 위생점검을 실시했다. 점검결과 이 가운데 26건(10.2%)의 음료에서 기준치 이상의 세균이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별로는 율무차의 위생상태가 가장 불량했다. 조사대상 98건 가운데 23.5%에 해당하는 23건에서 세균이 검출된 것이다. 그 중 기준치(ml당 3,000이하)보다 60배나 많은 180,000마리의 세균이 나온 율무차도 있었다. 그 외 코코아·유자차·둥굴레차에서는 각각 1건씩 세균이 검출됐다.
한편 이번 점검에서는 길거리 자판기 6,305대 중 757대(12.0%)가 관련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드러났다. 위반사례는 ‘무단철거·고장방치’가 407건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위생상태 점검표 및 고장 시 연락처 등 표시사항 미기재’ 246건, ‘자판기 대수·운영자·설치 위치 변경 미신고’ 52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는 세균 수 기준을 초과한 자판기 26대에 대해 영업정지 처분하고, 표시사항 미기재 등 위반사항이 경미한 자판기 324대는 행정지도 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