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캠프 캐럴의 고엽제 매립 의혹이 결론지어졌다. 한·미공동조사단은 고엽제로 추정할 성분을 발견하지 못했다는 최종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공동조사단은 지난달 29일 경북 칠곡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월 퇴역 미군 스티브 하우스 씨가 캠프 캐럴에 고엽제가 매몰됐다고 폭로한 후 7개월간 계속해서 조사를 벌인 결과 고엽제 매립을 확인할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조사단에 따르면 기지 내 86개 지점의 토양시료를 채취·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고엽제 성분(2, 4-D 또는 2, 4, 5-T)이 나오지 않았다. 또 2곳에서 고엽제 불순물인 2, 3, 7, 8-TCDD가 검출됐지만 주거지역 권고 기준의 1/100 이하로 고엽제와의 관련성을 단정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조사단의 한 관계자는 “과거 근무자 172명과 32개 기관에 대한 조사에서 캠프 캐럴에 매립돼 있던 것은 고엽제가 아니라 살충제와 제초제, 솔벤트 등이었으며, 이것도 굴착돼 미국 본토로 수송됐다는 증언을 확보했다”라며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68년 380드럼의 고엽제가 한국으로 수송돼 한국 육군에 의해 DMZ에서만 사용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기지 주변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신뢰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대구경북녹색연합은 성명을 통해 “토양 시추는 주한미군 공병단이 시행한데다 조사 깊이 등도 제각각이어서 고엽제 매립 의혹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다”라며 “정부와 주한미군은 조사단을 새롭게 구성해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고엽제 관련 기록을 모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공동조사단은 지난달 29일 경북 칠곡군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5월 퇴역 미군 스티브 하우스 씨가 캠프 캐럴에 고엽제가 매몰됐다고 폭로한 후 7개월간 계속해서 조사를 벌인 결과 고엽제 매립을 확인할 증거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조사단에 따르면 기지 내 86개 지점의 토양시료를 채취·분석한 결과, 모든 지점에서 고엽제 성분(2, 4-D 또는 2, 4, 5-T)이 나오지 않았다. 또 2곳에서 고엽제 불순물인 2, 3, 7, 8-TCDD가 검출됐지만 주거지역 권고 기준의 1/100 이하로 고엽제와의 관련성을 단정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조사단의 한 관계자는 “과거 근무자 172명과 32개 기관에 대한 조사에서 캠프 캐럴에 매립돼 있던 것은 고엽제가 아니라 살충제와 제초제, 솔벤트 등이었으며, 이것도 굴착돼 미국 본토로 수송됐다는 증언을 확보했다”라며 “공식 기록에 따르면 1968년 380드럼의 고엽제가 한국으로 수송돼 한국 육군에 의해 DMZ에서만 사용됐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기지 주변 주민들과 환경단체들은 신뢰할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대구경북녹색연합은 성명을 통해 “토양 시추는 주한미군 공병단이 시행한데다 조사 깊이 등도 제각각이어서 고엽제 매립 의혹을 밝히는 데 한계가 있다”라며 “정부와 주한미군은 조사단을 새롭게 구성해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고엽제 관련 기록을 모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