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발생한 대지진으로 제2의 체르노빌 사태를 겪고 있는 일본이 오는 2050년까지 모든 원전을 폐쇄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7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전기간을 40년으로 법제화하기로 했다.
호소노 고시(細野豪志) 원전담당상은 “원자로규제법을 개정해 원전 운전기간을 원칙적으로 40년으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건설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이에 가장 최근에 지어진 원전의 가동연수가 40년이 되는 2050년경에는 ‘원전 제로’ 상태가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일본은 가동 30년이 넘은 원전을 대상으로 시설의 안전성을 평가해 10년마다 재운전을 허용해왔지만 가동 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었다.
참고로 현재 일본에는 총 54기의 원전이 있는 상태다. 방사성 물질 유출 사고가 난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와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1호기, 쓰루가 원전 1호기 등은 이미 가동 40년이 넘은 상태다.
7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원자력발전소의 운전기간을 40년으로 법제화하기로 했다.
호소노 고시(細野豪志) 원전담당상은 “원자로규제법을 개정해 원전 운전기간을 원칙적으로 40년으로 제한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재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원전건설이 사실상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이에 가장 최근에 지어진 원전의 가동연수가 40년이 되는 2050년경에는 ‘원전 제로’ 상태가 될 전망이다.
지금까지 일본은 가동 30년이 넘은 원전을 대상으로 시설의 안전성을 평가해 10년마다 재운전을 허용해왔지만 가동 기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었다.
참고로 현재 일본에는 총 54기의 원전이 있는 상태다. 방사성 물질 유출 사고가 난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와 후쿠이현 미하마 원전 1호기, 쓰루가 원전 1호기 등은 이미 가동 40년이 넘은 상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