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저임금 근로자와 고임금 근로자의 임금격차가 사상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노동연구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 9대1 분위배율은 5.4로 통계청이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시작한 200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9대1 분위배율은 임금을 가장 많이 받는 계층인 9분위 임금근로자 중 최저 임금근로자와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계층인 1분위 임금근로자 중 최고 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을 비교한 비율이다. 9대1 분위배율이 5.4라는 것은 9분위 근로자의 임금이 1분위 근로자의 5.4배에 달한다는 뜻이다.
지난 2002년 5.0이었던 9대1 분위배율은 2003년 5.1, 2004∼2006년 5.0, 2007년 5.2, 2008년 5.0, 2009년 5.4, 2010년 5.1 등으로 기록되다가 2009년에 이어 지난해 다시금 최고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수준이 중간인 5분위 근로자와 1분위 근로자의 임금수준을 비교해 중간층과 하위임금 계층의 임금 불평등을 보여주는 5대1분위 배율 역시 지난해 3.4로 2002년 이후 가장 높았다. 5대1 분위배율은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2.2를 유지하다가 2006∼2007년 2.4로 악화됐으며, 이후 2008년 2.1로 떨어졌었다.
그러나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과 2010년 2.3으로 오른 뒤 지난해 2.4로 다시 상승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저임금 근로자와 고임금 근로자의 격차는 OECD 국가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 OECD 회원국의 9대1 분위배율 중간값은 3.34였다.
15일 노동연구원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1년 9대1 분위배율은 5.4로 통계청이 경제활동인구조사를 시작한 2002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9대1 분위배율은 임금을 가장 많이 받는 계층인 9분위 임금근로자 중 최저 임금근로자와 임금을 가장 적게 받는 계층인 1분위 임금근로자 중 최고 임금근로자의 임금수준을 비교한 비율이다. 9대1 분위배율이 5.4라는 것은 9분위 근로자의 임금이 1분위 근로자의 5.4배에 달한다는 뜻이다.
지난 2002년 5.0이었던 9대1 분위배율은 2003년 5.1, 2004∼2006년 5.0, 2007년 5.2, 2008년 5.0, 2009년 5.4, 2010년 5.1 등으로 기록되다가 2009년에 이어 지난해 다시금 최고수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수준이 중간인 5분위 근로자와 1분위 근로자의 임금수준을 비교해 중간층과 하위임금 계층의 임금 불평등을 보여주는 5대1분위 배율 역시 지난해 3.4로 2002년 이후 가장 높았다. 5대1 분위배율은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2.2를 유지하다가 2006∼2007년 2.4로 악화됐으며, 이후 2008년 2.1로 떨어졌었다.
그러나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과 2010년 2.3으로 오른 뒤 지난해 2.4로 다시 상승한 것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저임금 근로자와 고임금 근로자의 격차는 OECD 국가들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기준 OECD 회원국의 9대1 분위배율 중간값은 3.34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