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의 사고사례 등을 분석해 제공하는 시스템이 마련됐다. 국토해양부는 이달 1일부터 ‘건설안전정보시스템(www.cosmis.or.kr)’을 공식 운영한다고 밝혔다.
건설안전정보시스템은 ‘건설안전 사고사례 DB’, ‘우수사례 소개’, ‘건설공사 시공평가’ 등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단한 회원 가입절차를 거쳐 손쉽게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메뉴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건설안전 사고사례 DB’에서는 최근 발생한 사고사례를 사고내용, 원인, 재발방지대책 등으로 구분 제공된다. 향후 발생하는 사고는 학계·산업계·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사고조사위원들이 자료를 분석해 추가하게 된다.
‘우수사례 소개’코너는 건설현장에서 공법변경 등으로 건설안전사고를 예방한 사례를 건설현장 관계자가 직접 게재하거나 의견을 개진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우수 게시자(업체)에 대해서는 연말에 포상도 실시할 계획이다.
‘건설공사 시공평가’메뉴는 총 공사비가 100억원 이상인 공공 건설공사에 참여한 건설업체의 준공 전후 시공품질에 대해 실시하는 시공평가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DB)한 것이다. 이 자료는 향후 입찰참가자격심사(PQ) 시 10%가 반영될 예정이다.
건설안전정보시스템은 ‘건설안전 사고사례 DB’, ‘우수사례 소개’, ‘건설공사 시공평가’ 등의 메뉴로 구성되어 있으며, 간단한 회원 가입절차를 거쳐 손쉽게 관련 정보를 열람할 수 있다.
메뉴 구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건설안전 사고사례 DB’에서는 최근 발생한 사고사례를 사고내용, 원인, 재발방지대책 등으로 구분 제공된다. 향후 발생하는 사고는 학계·산업계·연구기관 등 각계 전문가로 구성된 건설사고조사위원들이 자료를 분석해 추가하게 된다.
‘우수사례 소개’코너는 건설현장에서 공법변경 등으로 건설안전사고를 예방한 사례를 건설현장 관계자가 직접 게재하거나 의견을 개진하도록 했다. 국토부는 우수 게시자(업체)에 대해서는 연말에 포상도 실시할 계획이다.
‘건설공사 시공평가’메뉴는 총 공사비가 100억원 이상인 공공 건설공사에 참여한 건설업체의 준공 전후 시공품질에 대해 실시하는 시공평가결과를 데이터베이스화(DB)한 것이다. 이 자료는 향후 입찰참가자격심사(PQ) 시 10%가 반영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