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대란 징후와 비슷 vs 우려할만한 수준 아니다
최근 신용카드사들의 출혈 경쟁과 무분별한 대출 형태 등이 늘면서 ‘재2의 카드대란’사태가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003년 발생된 카드대란은 국민 400만명을 신용불량자로 내몬 바 있다. 카드 대란이 있은 후에도 금융지주사들은 사업확장을 위해 카드 부문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특히 수익 창출을 위해 카드론 등을 통한 가계대출을 늘리면서 무한경쟁에 돌입했었다.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신용카드수는 1억2,213만장으로 전년 대비 554만장이 증가했다. 카드대란 당시 1억480만장보다 2천만장 가량 많은 수치다.
또한 2011년 말 현재 카드사의 총 자산은 79조3천억원으로 2003년 당시 규모(78조9천억원)를 넘어섰다.
카드사들이 카드대란 이후 구조조정을 겪다가 금융당국의 규제가 느슨해진 틈을 타 다시 몸집을 불린 결과다. 카드사의 총자산은 2008년 65조원, 2009년 65조9천억원, 2010년 75조6천억원으로 꾸준히 늘었다.
이같은 외형지표는 최근 가계부채 증가, 금리상승 현상과 함께 맞물리면서 10년 전 카드대란의 징후와 유사하다는 관측을 낳고 있다.
특히 가장 큰 문제는 카드대출 잔액이 늘었다는데 있다. 지난해 말 카드대출 잔액은 전년보다 3천억원 증가한 28조2천억원에 달했다. 지난해 말 12조4천억원에 육박한 현금 서비스 대출액도 심각한 수준이다. 대출 연체율이 위험 구간으로 진입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1.9%로 같은 기간 전체 가계대출 연체율의 두 배를 웃돌았다.
연평균 카드대출 연체율이 카드대란 이후 2006년에 0.1%까지 떨어진 것과 비교해 보면 상당히 심각한 수준인 것이다.
카드대란은 지나친 기우??
이처럼 일각에서 카드대란을 우려하는 것과는 반대로 제2의 카드대란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2003년과 현재는 근본적인 문제가 다르다는 것이다.
금융업계의 한 관계자는 “카드사의 총 자산은 분명 증가했지만 신용카드 시장에서 카드대출은 크게 감소한 반면, 신용판매는 늘어났다”라며 “이것이 카드대란 당시와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카드대란 사태 시 가장 문제가 됐었던 부분이 바로 카드대출이었다. 2002년말 카드대출은 412조원으로 신용판매 268조원보다 훨씬 더 규모가 컸다. 하지만 지난해 카드대출은 106조원에 그쳤고 신용판매는 451조원으로 늘어났다. 2002년 기형적이던 카드산업 구조가 제자리를 찾아갔다는 설명이 가능한 부분이다.
연체율 역시 심각한 수준은 아니라는 것이 업계의 입장이다. 연체율이 줄어드는 추세에 있다는 것이 그 이유. 2007년 3.79%였던 연체율은 2008년 3.43%, 2009년 2.23%로 하강했다.
그렇다고 안심해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가계부채 부실이 본격화되면 주로 급전을 빌려주는 카드사들이 제일 먼저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특히 경기가 침체 국면에 접어들고 있는데다가 내수산업이 어려워지면 연체율이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