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년간 1인당 국민소득은 1.8배가량 증가한 반면 ‘삶의 질’ 개선은 미미했던 것으로 조사됐다.
고용불안과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 소득분배 개선, 각종 범죄와 관련된 안전 대책, 복지 설계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5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삶의 질 지수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인당 국민소득은 1995년 1만1,779달러에서 2010년 2만756달러로 15년 동안 약 1.8배 늘어났다. 하지만 국민들의 삶의 질 지수는 같은 기간 100에서 132.3으로 1.3배 개선되는데 그쳤다.
연구원이 개발한 삶의 질 지수는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경제적 안정, 사회적 유대, 보건ㆍ복지, 생활기반 등 4개 항목 10개 지표를 지수화한 것이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4개 항목 중 보건ㆍ복지와 생활기반은 1995년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 기대수명 상승, 의료인 증가, 주택 및 하수도 보급률 상승, 1인당 주거면적 확대 등에 따른 것이다.
반면 경제적 안정 지수는 대내외적 경제위기에 따른 고용 불안과 소득분배 악화로 1995년 20에서 2010년 18.0으로 하락했다. 사회적 유대도 1995년 30에서 2010년 31.2로 제자리에 머물렀다.
고용불안과 양극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삶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창출, 소득분배 개선, 각종 범죄와 관련된 안전 대책, 복지 설계 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5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삶의 질 지수 추이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1인당 국민소득은 1995년 1만1,779달러에서 2010년 2만756달러로 15년 동안 약 1.8배 늘어났다. 하지만 국민들의 삶의 질 지수는 같은 기간 100에서 132.3으로 1.3배 개선되는데 그쳤다.
연구원이 개발한 삶의 질 지수는 인간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 경제적 안정, 사회적 유대, 보건ㆍ복지, 생활기반 등 4개 항목 10개 지표를 지수화한 것이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4개 항목 중 보건ㆍ복지와 생활기반은 1995년 대비 큰 폭으로 개선됐다. 기대수명 상승, 의료인 증가, 주택 및 하수도 보급률 상승, 1인당 주거면적 확대 등에 따른 것이다.
반면 경제적 안정 지수는 대내외적 경제위기에 따른 고용 불안과 소득분배 악화로 1995년 20에서 2010년 18.0으로 하락했다. 사회적 유대도 1995년 30에서 2010년 31.2로 제자리에 머물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