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와 전문가 의견 수렴한 작업환경 개선방안 필요
최근 고용노동부가 삼성전자 등 반도체 사업장 공정에서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 발암물질이 노출됐다고 공식 발표한 것과 관련해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이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의 산재인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울지방변호사회(오욱환 회장)는 8일 “삼성전자를 비롯해 반도체 사업장을 보유한 기업은 공정 환경과 백혈병 발병 사이의 인과관계를 인정하고 백혈병 환자와 가족, 국민에게 사과하라”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성명을 통해 서울변회는 향후 정부와 반도체 사업장들이 근로자들의 고통을 치유하기 위해 펼쳐야할 방안을 제시했다.
먼저 서울변회는 반도체 사업장들이 정부의 추가적인 조사연구와 정책 수립에 적극 협조하고, 근로자의 발암물질 노출을 막을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을 즉시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변회는 정부가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들의 작업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을 주문했다.
아울러 변회는 근로복지공단이 현재 진행 중에 있는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 산재소송에 대한 항소를 즉각 취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지방변호사회의 한 관계자는 “앞으로 반도체 공정에서 백혈병 등 산업재해를 입은 근로자들이 권리를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도울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보건시민센터도 같은 날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한 산업재해를 인정하고, 대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라”면서 반도체 사업장들의 사과를 촉구했다.
이와 관련해 삼성그룹은 반도체 사업장 근로자의 백혈병 발병 문제에 대해 적극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삼성그룹의 한 관계자는 “백혈병 문제로 인해 직원들의 불안감이 커진다면 결국 회사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서 “그룹 차원에서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문제는 최대한 투명하게 공개하고 비판받을 부분이 있으면 적극 수용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