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적 기능 강화하고, 1차 의료체계 확실히 갖춰야
우리나라의 의료비 지출 증가율이 OECD 회원국 평균의 2배에 달한다는 자료가 공개됐다. OECD가 26일 발간한 ‘한국 의료의 질 검토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2002~2009년 1인당 보건의료비 지출 증가율은 연평균 7.7%로, OECD 평균(3.6%)의 2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병원비 지출 증가율도 연평균 12.8%로 OECD 평균(6.7%)의 2배에 육박했다. 병원비 지출이 전체 보건의료비 증가에 기여하는 비율도 50%에 달했다.
OECD는 고령화, 비만률 증가 등으로 우리나라의 의료비 지출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 전망하며 재정악화를 막기 위해선 질병의 예방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환자수와 진료비 지출이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예방적 조치는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본 것이다.
특히 OECD는 천식과 당뇨 등 만성질환에 대한 예방관리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9년 우리나라 천식과 당뇨 환자의 10만명당 입원건수는 각각 105.5건, 127.5건으로 OECD 평균인 51.8건, 50.3건의 2배가 넘었다. 천식과 당뇨는 관리를 잘하면 입원이 줄어드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예방적 기능을 강화하면 전체 의료비 지출 감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OECD는 1차 의료체계를 확실히 갖춰, 치료를 2, 3차까지 이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