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예방조치로 피해 최소화 목적
4·5월 영농철을 앞두고 지자체들이 농작업 안전관리 사업을 본격 개시하고 있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고령자와 여성 등 농작업자 특성을 고려한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지원사업에 13개 시·군 20개소를 선정, 8억5000만원을 투입한다고 25일 밝혔다.
도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농작업 편이장비 보급사업은 2017년까지 160개소로 확대되며, 기술원은 사업효과가 농업 현장에 빠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사후 관리와 지원활동을 펴나갈 계획이다.
또 기술원은 올해 농작업 안전사업을 추진할 농업지역을 대상으로 △농작업 유해요인 노출특성 △농업인 근골격계 질환 예방 등에 대한 교육도 실시할 예정이다.
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현재의 농촌은 고령화, 여성화로 인해 재해율이 전체산업의 1.8배에 달한다”면서 “농작업 편이장비 보급사업이 농업인의 재해예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농업기술원은 최근 기술원 농업과학교육관에서 농업인 및 농업 담당공무원 등 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농작업 환경개선 사업 연찬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농업인의 농작업 재해를 예방하고, 보다 효과적인 농작업 환경개선 사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도 기술원은 안전하게 농작업을 할 수 있는 각종 편이장비와 안전모델들을 소개하고, 농작업 환경개선 우수 사업 사례를 전파했다.
경북 울진군은 내달 10일까지 농기계 안전운행 저속차량 표시등과 태양열 진동식 안전 후미등 400개를 희망농가에 지원한다고 최근 밝혔다. 이는 야간에 빈발하는 농기계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다.
군 관계자는 “영농철 이전에 안전운행 장치 공급을 완료해 농기계로 인한 안전사고를 최소화시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