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년간 서울시민들은 10초에 한 번꼴로 119에 전화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종합방재센터는 개관 10주년을 맞아 ‘119신고 변천사’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종합방재센터에는 총 3,025만여건의 신고가 접수·처리됐다.
접수처리 내용별로는 안전관련 상담전화가 83.2%(25,166,591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구급 13.6%(4,136,383건), 구조 1.3%(393,908건), 화재 1.18%(358,8 57건), 위치추적 0.4%(139,639건)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10초에 한 번꼴로 119 전화가 울린 셈이며, 구급은 76초, 구조는 13분, 화재는 14분마다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지난 10년 사이 서울시민들의 119신고 흐름에도 변화가 있었다. 화재신고는 줄고, 구급과 구조, 위치추적 신고는 증가세를 보인 것.
2002년 39,308건이던 화재신고는 2011년 25,336건으로 35.5%가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구조신고는 39,459건에서 49,365건으로 25% 증가했으며, 구급은 378,127건에서 444,781건으로 17.6% 늘어났다.
조난환자를 신속하게 구조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처음 도입된 위치추적은 3,807건에서 지난해 37,458건으로 무려 10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허위·장난전화는 2002년 15,874건에서 지난해에는 1,072건으로 대폭 감소했다.
서울종합방재센터는 개관 10주년을 맞아 ‘119신고 변천사’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서울종합방재센터에는 총 3,025만여건의 신고가 접수·처리됐다.
접수처리 내용별로는 안전관련 상담전화가 83.2%(25,166,591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는 구급 13.6%(4,136,383건), 구조 1.3%(393,908건), 화재 1.18%(358,8 57건), 위치추적 0.4%(139,639건)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10초에 한 번꼴로 119 전화가 울린 셈이며, 구급은 76초, 구조는 13분, 화재는 14분마다 신고가 접수된 셈이다.
지난 10년 사이 서울시민들의 119신고 흐름에도 변화가 있었다. 화재신고는 줄고, 구급과 구조, 위치추적 신고는 증가세를 보인 것.
2002년 39,308건이던 화재신고는 2011년 25,336건으로 35.5%가 감소했다. 같은 기간 구조신고는 39,459건에서 49,365건으로 25% 증가했으며, 구급은 378,127건에서 444,781건으로 17.6% 늘어났다.
조난환자를 신속하게 구조하기 위해 지난 2006년 처음 도입된 위치추적은 3,807건에서 지난해 37,458건으로 무려 10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 허위·장난전화는 2002년 15,874건에서 지난해에는 1,072건으로 대폭 감소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