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개최
핵테러 방지를 통해 인류의 평화와 안전을 지키기 위한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26~27일 개최됐다. 이 회의에는 이명박 대통령,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대통령,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 등 53개 국가의 정상 또는 정상급 대표가 참가했다.
또한 유럽연합, 유엔, 국제원자력기구, 인터폴 등 4개 국제기구의 수장이 참석하는 등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국제회의로 진행됐다.
핵안보정상회의는 9·11테러 이후 핵 테러의 위협이 높아진 상황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주도해 2010년 미국 워싱턴에서 첫 회의가 열렸다. 이번 서울 회의는 2회째다.
핵안보정상회의의 주요 의제는 핵물질 관리 강화와 폐기 문제다. 실제로 2010년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가 열린 이후 핵무기 천여개를 만들 수 있는 분량의 고농축 우라늄(HEU)이 제거되기도 했다.
이번 핵안보정상회의에서 한국은 의장국으로 주요 의제들에 대한 각국의 의견을 조율하고, 서울 정상회
의 합의문인 ‘서울 코뮈니케’ 문안을 마련하는데 주도적 역할을 했다.
핵과 방사선 물질 불법거래 차단
현재 전세계에는 1,600t의 고농축우라늄(HEU)과 500t의 플루토늄이 산재해 있다. 이는 핵무기 약 12만6,500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열린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가장 큰 성과는 핵테러 방지에 대한 주요 국가들의 의지를 재확인했다는 것이다.
이는 방사성 물질의 불법적 거래를 차단토록 하는 내용의 ‘서울 코뮈니케’ (정상선언문)의 채택을 통해 실현됐다.
서울 코뮈니케에는 △무기급 핵물질의 제거와 최소화 △원자력 시설에 대한 물리적 보호 강화 △핵과 방사성 물질의 불법 거래 차단 등 핵안보에 대한 주요 원칙과 함께 핵과 방사능 테러 방지를 위한 실천적인 조치 등이 담겼다.
회의 개최 어떤 영향이
그렇다면 한국은 이번 회의를 개최하면서 어떤 효과를 얻었을까.
전 세계 주요국 정상들이 서울에 모여 국제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했던 것 자체가 한반도의 평화 안정에 기여할 것이란 평가가 지배적이다.
북한의 비핵화문제가 회의기간 내내 주요국 정상들 사이에 논의되면서 북한을 압박했다는 것이다. 특히 북한이 장거리 로켓 발사를 예고한 상황이라 그 의미는 더욱 컷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