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9.1 강진 발생할 수 있어…쓰나미 최대 34.4m에 달할 듯
3.11 동일본 대지진의 참상이 채 아물기도 전에 태평양 연안에 대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발표가 잇따라 나와 일본 열도가 술렁이고 있다. 먼저 지난달 30일 수도권 직하형 지진을 조사해온 일본 정부 산하 지진조사위원회는 도쿄만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지역에서 향후 30년 안에 리히터 규모 7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70%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어 규모 7급 이상의 직하형 지진이 일어날 경우 약 2,500만명이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예측했다.
직하형 지진은 그 피해가 일반 지진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1995년 6,400명의 목숨을 앗아간 한신대지진이 바로 규모 7의 직하형 지진이었다.
이같은 발표가 있은 다음날에는 일본 내각부 산하 전문가검토회가 더 충격적인 소식을 전했다. 일본 중부의 시즈오카(靜岡) 현에서 남부 규슈(九州)의 미야자키(宮崎)현에 이르는 태평양 연안의 난카이(南海) 해구에서 리히터 규모 9.1의 거대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또한 지진으로 인한 지진해일(쓰나미)이 태평양 연안 대부분 지역에서 10m 이상, 서일본 6개 도·현에서는 최대 34.4m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특히 검토회는 지진이 내륙과 가까운 곳에서 일어나는 만큼 쓰나미 도달 시간이 와카야마(和歌)현에서는 2분, 미에(三重)현에서는 3분, 에히메(愛媛)현에서는 10분대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즉 쓰나미 경고가 발령되더라도 시민들이 대피할 시간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다.
일본, 수도 기능 대체할 지역 검토
이같은 소식에 따라 일본에서는 중앙정부는 물론 각 지역별로도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다.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 일본 총리는 수도권 대지진에 대비해 중추 기능을 대체할 후보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2일 참의원 예산위원회에 참석한 노다 총리는 “수도 기능을 할 수 있는 후보지를 선정하는 등 정부차원에서 대지진에 대비한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올 여름까지 수도의 중추기능 확보를 위해 여러 가지 방안을 논의한 뒤 내년 봄까지는 확정된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자구책을 내놓고 있다. 시즈오카 현 누마즈(沼津)시의 한 마을은 주민 투표를 통해 높은 지대로 집단 이주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34.4m의 쓰나미가 덮칠 것으로 예상된 고치(高知)현 구로시오(黑潮)에서는 주민 집단 이주를 포함한 대지진 대비책을 수립키로 했다. 이 외에도 현지 언론들은 태평양 연안 지역 주민들의 집단 이주 사태가 잇따를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