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5도, 무역항 등 46개
선박의 안전운항과 해양환경의 보호를 위해 국토해양부가 해양 쓰레기 실태조사에 나선다. 국토부는 무역항, 연안항, 국가어항, 연근해 등 46개 항만과 해역에서 해양쓰레기 분포 및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9일 밝혔다.
해양쓰레기 수거사업은 항만과 연근해 해역에 침적된 쓰레기를 수거·처리하여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를 보전하고 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하는 사업으로, 1999년부터 시작됐다.
초기(1999~2003년)에는 다량의 쓰레기가 침적된 주요 항만(무역항, 연안항, 국가어항)을 중심으로 사전조사 없이 실시설계 후 사업이 시행됐으나, 2004년부터는 체계적인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추진을 위해 해양쓰레기 분포 및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올해 실시되는 해양쓰레기 분포 및 실태조사 결과는 올 하반기와 2013년 상반기 해양쓰레기 정화사업 대상지 선정 자료로 활용된다.
국토부의 한 관계자는 “해양쓰레기는 바다를 오염시켜 해양환경과 생태계를 훼손하고, 스크류에 감겨 선박의 안전운항을 저해하기도 한다”면서 “그동안 지속적인 사업 추진으로 침적쓰레기 발생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깨끗한 해양환경 보전과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조사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수거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