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 운전자가 일주일에 평균 59시간을 운전해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교통안전공단이 서울시내 사업용 운전자 201명을 대상으로 사업용 운전자 근로행태를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운행하는 운전자가 94명(47%)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14명(7%)의 운전자는 하루 평균 13시간을 운행한다고 답해 사업용 운전자 과로운행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주간 평균 운행시간은 버스운전자가 59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택시운전자 54시간, 화물운전자 45시간으로 나타났다.
사업용 운전자의 장시간 과로운행은 대형 교통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실제로 지난 2010년 7월 12명의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한 ‘인천대교 대형 교통사고’도 운전자의 장시간 과로운행이 주요한 사고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장시간 운전 시에는 최소 2시간마다 적정한 휴식을 통해 균형감각과 안정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라며 “사업용 운전자의 과로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이나 EU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최대 연속운전시간 제한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교통안전공단이 서울시내 사업용 운전자 201명을 대상으로 사업용 운전자 근로행태를 분석한 결과 하루 평균 10시간 이상 운행하는 운전자가 94명(47%)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 가운데 14명(7%)의 운전자는 하루 평균 13시간을 운행한다고 답해 사업용 운전자 과로운행이 심각한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주간 평균 운행시간은 버스운전자가 59시간으로 가장 많았고 택시운전자 54시간, 화물운전자 45시간으로 나타났다.
사업용 운전자의 장시간 과로운행은 대형 교통사고로 연결될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 실제로 지난 2010년 7월 12명의 사망자와 부상자가 발생한 ‘인천대교 대형 교통사고’도 운전자의 장시간 과로운행이 주요한 사고요인으로 밝혀진 바 있다.
공단의 한 관계자는 “장시간 운전 시에는 최소 2시간마다 적정한 휴식을 통해 균형감각과 안정감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라며 “사업용 운전자의 과로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미국이나 EU 등 선진국에서 시행하고 있는 최대 연속운전시간 제한 제도의 도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