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한국통합물류협회 MOU 체결

FTA체결에 따른 유통시장 개방 등으로 물류산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가운데 관련 근로자들의 재해예방을 위한 공동노력이 전개된다.
지난해 국내 물류취급 사업장은 산재보험 가입기준으로 3만 7천여개가 존재하며, 근로자수는 27만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5년전과 비교할 때 사업장은 18.9%, 근로자수는 6.1% 증가한 것이다.
2009년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이 발표한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산재발생 형태 및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조흠학 연구위원)’에 따르면, 화물운송종사자의 74.9%가 하루 10시간 이상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상황 속에 빠르게 그리고 더 많은 곳에 전달해야 하는 물류산업의 특성상 관련 종사자는 사고위험이나 근골격계질환 등 건강상의 장애에 노출되기 쉽다.
이를 감안해 안전보건공단(이사장 백헌기)은 23일 공단본부 회의실에서 한국통합물류협회와 ‘물류산업 재해예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번 달부터 택배기사, 퀵서비스기사에 대한 산재보험이 적용되는것에 맞춰 관련근로자들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움직임에 대대적으로 나선 것이다.
한국통합물류협회는 CJ대한통운, (주)한진 등 2천여개의 회원사를 둔 물류업계를 대표하는 단체다. 이번 협약을 통해 안전보건공단과 협회는 회원사를 대상으로 △안전보건경영시스템(KOSHA 18001)구축 지원 △위험성 평가기법 지원 △물류터미널 안전보건 표준 모델 개발·보급 △ 물류산업 재해예방 세미나 개최 △물류관련 예방대책 등 기술자료 제공 △물류 근로자에 대한 안전보건교육 △산재예방 캠페인 등을 공동 실시할 계획이다.
공단의 백헌기 이사장은 “물류산업 근로자의 안전보건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이번 재해예방 협약이 관련업계에 안전문화를 확산시켜 물류산업 선진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통합물류협회 석태수 회장은 “물류산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안전이라고 생각한다”라며 “물류산업의 각 분야에 맞는 산재예방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