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대졸학력 이상의 비정규직 근로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 증가한 580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0대(-10.7%), 20대(-1.5%), 30대(-6.3%)의 경우 감소했지만, 40대(1.6%)와 50대(3.6%)는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의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1년 전 84만6천명 수준에서 92만9천명 수준으로 9.8%나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283만7천명) 부문이 9만2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65만7천명)이 4만9천명 증가했다.
한편 비정규직 근로자를 교육정도별로 나눠 살펴보면, 고졸이 247만9천명(42.7%)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만2천명이 늘어난 190만명(32.7%)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5개월로 전년 동월보다 3개월 늘었고, 최근 3개월간의 월평균 임금은 143만2천원으로 5.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3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 증가한 580만9천명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10대(-10.7%), 20대(-1.5%), 30대(-6.3%)의 경우 감소했지만, 40대(1.6%)와 50대(3.6%)는 증가세를 보였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의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1년 전 84만6천명 수준에서 92만9천명 수준으로 9.8%나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사업·개인·공공서비스(283만7천명) 부문이 9만2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65만7천명)이 4만9천명 증가했다.
한편 비정규직 근로자를 교육정도별로 나눠 살펴보면, 고졸이 247만9천명(42.7%)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만2천명이 늘어난 190만명(32.7%)으로 집계됐다.
아울러 비정규직 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2년 5개월로 전년 동월보다 3개월 늘었고, 최근 3개월간의 월평균 임금은 143만2천원으로 5.6%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