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검사결과 14% 가량 불합격, 안전검사 적극적으로 받아야

어린이놀이시설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정부와 각 기관, 놀이시설 관리자들의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 서울시와 부산시가 어린이 놀이시설에 대한 실태조사에 들어간 가운데, 각 지자체에서도 점검계획과 지원방안을 속속 발표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경우 최근 ‘학교 및 유치원 놀이시설 관리에 관한 조례’ 초안을 마련, 향후 놀이시설 안전관리에 대한 도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 어린이놀이시설 검사기관인 대한산업안전협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협회는 올해 5월말 기준으로 전국의 놀이시설 709개소 3,400여개 놀이기구에 대한 검사를 마쳤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검사 대상이 3배 이상 증가했다. 월별로 보면 1월 96개소, 2월 100개소, 3월 123개소, 4월 207개소, 5월 183개소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협회의 한 관계자는 “검사 기간이 3년간 연장됐지만, 검사 전까지 안전교육, 배생책임보험 가입, 안전점검 등의 의무가 부과되면서 검사를 받으려는 곳이 최근 들어 급격히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검사 결과 14% 가량이 불합격될 정도로 안전하다고만 생각됐던 어린이놀이시설이 결코 안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어린이 놀이시설이용자가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이라는 점에서 관리주체들은 안전검사 및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참고로 지난 2007년 어린이안전관리법이 제정되면서, 2008년 1월 27일(시행일) 이후 설치된 놀이시설은 정기시설검사와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고 보험도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 또 법 시행 이전에 설치된 전국의 놀이시설은 2015년까지 설치검사를 받아야 한다. 원래 올해 1월까지 검사를 받아야 했지만, 설치 검사율이 예상보다 저조하면서 그 유예기간을 3년 더 늘린 것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