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에서 직원들의 정년이 정해져 있는 곳은 5곳 중 3곳 정도이며, 이들 기업의 평균 정년은 만 55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실제 정년을 채우고 퇴직하는 근로자는 10명 중 4명에도 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취업포털 J사가 중소기업 275곳을 대상으로 ‘직원의 정년퇴직 연령’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년퇴직 연령이 정해져 있다’고 답한 기업은 61.5%였다. 이들 기업의 평균 정년은 ‘만 55세’로 조사됐다. 반면, 전체 조사 기업 중 38.5%는 ‘정년퇴직 연령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답했다.
‘직원들 중 정년까지 일하는 직원이 있는가’라고 물어본 결과에서는 ‘전혀 없거나 대부분 정년 전에 퇴사한다’는 답변이 42.6%를 차지했다.
또 평균 정년으로 조사된 ‘만 55세’를 기준으로 보면 ‘만55세 이상’의 퇴직자는 33.6%에 그쳤고, 나머지 66.4%는 만55세 이전에 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최근 1년 이내에 퇴직한 직원들의 평균연령은 만51세로 평균보다 4년이 빨랐다. 연령대별로는 ‘만46세~만50세’에 퇴직한 직원이 30.7%, ‘만51세~만55세’ 퇴직한 직원이 24.5%로 많았다. 하지만 40대 초반(만41세~만45세)에 퇴직한 직원도 20.8%로 5명 중 1명에 달했다.
인사담당자들은 이들의 퇴직이 대부분 ‘자의적인 결정에 따른 것(62.2%)’이라고 답했으나, ‘기업의 구조조정·권고사직에 의해’라고 답한 응답자도 34.5%에 달했다.
J사의 한 관계자는 “길어진 평균수명에 비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면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취업포털 J사가 중소기업 275곳을 대상으로 ‘직원의 정년퇴직 연령’에 대해 조사한 결과, ‘정년퇴직 연령이 정해져 있다’고 답한 기업은 61.5%였다. 이들 기업의 평균 정년은 ‘만 55세’로 조사됐다. 반면, 전체 조사 기업 중 38.5%는 ‘정년퇴직 연령이 정해져 있지 않다’고 답했다.
‘직원들 중 정년까지 일하는 직원이 있는가’라고 물어본 결과에서는 ‘전혀 없거나 대부분 정년 전에 퇴사한다’는 답변이 42.6%를 차지했다.
또 평균 정년으로 조사된 ‘만 55세’를 기준으로 보면 ‘만55세 이상’의 퇴직자는 33.6%에 그쳤고, 나머지 66.4%는 만55세 이전에 퇴직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최근 1년 이내에 퇴직한 직원들의 평균연령은 만51세로 평균보다 4년이 빨랐다. 연령대별로는 ‘만46세~만50세’에 퇴직한 직원이 30.7%, ‘만51세~만55세’ 퇴직한 직원이 24.5%로 많았다. 하지만 40대 초반(만41세~만45세)에 퇴직한 직원도 20.8%로 5명 중 1명에 달했다.
인사담당자들은 이들의 퇴직이 대부분 ‘자의적인 결정에 따른 것(62.2%)’이라고 답했으나, ‘기업의 구조조정·권고사직에 의해’라고 답한 응답자도 34.5%에 달했다.
J사의 한 관계자는 “길어진 평균수명에 비해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기간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면서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일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