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부소방서 가좌 119안전센터 김종완 소방장
운동선수들은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시합 전 이미지트레이닝 훈련을 반드시 실시한다고 한다. 이미지 트레이닝의 사전적 의미는 ‘올바른 기술 따위의 습득을 위해 머릿속에 그 운동이나 동작을 그려 보는 연습법’이다. 말이 좀 거창하지만 사실 우리는 오래전부터 이것은 ‘예행연습’이란 이름으로 생활 속에서 적용해 왔다. 특히 화마와 싸우는 소방대원들은 화재·구조·구급 및 각종 합동소방훈련과 소방안전교육에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소방대원의 가장 대표적인 훈련방법으로는 위험예지훈련이 있다. 이는 낯선 현장에서 당황하지 않고 화재진압과 구조를 하는 가상훈련법이다. 이 훈련에서는 먼저 특정 상황을 설정해 그 부분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들을 살펴보고, 팀원들끼리 토론하게 된다.
이후 최선의 해결책이 도출 되면 반복적인 이미지학습을 통해 실제상황에서도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체득하고 있다. 이런 위험예지훈련이 없다면 실제 어떤 위험이 발생할지 모르는 위기상황에서 안전을 확보하면서 적극적인 활동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러한 교육방법은 신임소방대원에게도 필수적이다. 화재진압이나 구조·구급 등 경험이 부족한 직원들은 베테랑 선배들의 생생한 현장 경험담을 통해 머릿속 상상만으로도 그 때의 아찔함과 힘들었던 순간을 간접적으로 느낄 수 있게 되고, 그 간접경험이 누적되어 실제 화재나 재난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미지트레이닝 훈련법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소방안전교육에도 이용된다. 대표적인 예로 이동안전체험차량을 이용해 건물에 화재가 발생했다는 가정 하에 어두운 곳에서 안전하게 대피하는 훈련을 말할 수 있다.
그러면 지금부터 이미지트레이닝 훈련을 해보겠다. 내가 일하는 직장에서, 내가 잠자는 방안에서 화재가 났다가 가정하고 내가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1분만 상상해 보자.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는 어디에 있는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비상문은 어느 쪽에 있는지, 119에 전화를 걸어 무슨 얘기를 해야하는지 등등...
이와 같은 이미지트레이닝 훈련법이 일반시민들에게도 널리 퍼져 나가 유비무환의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하는 마음이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