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광주에서 발생한 수돗물 오염사고는 관계 공무원들의 안전불감증이 빚은 사고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경찰은 오염된 수돗물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증명이 없고 누가 응집제 투여 밸브를 오작동시켰는지 확인하지 못해 수사를 종결했다.
광주 동부경찰서는 3일 광주 동구 용연정수장 수돗물 오염사고와 관련해 정수사업소장과 정수팀장 등 공무원 8명과 공사 관계자 4명 등 총 12명을 상대로 응집제 투여 밸브 오작동 여부를 조사했으나 정확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아 내사 종결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거짓말탐지기까지 동원해 당시 정수장 실험실 근무자 2명과 작업 인부 3명에 대해 조사했으나 ‘밸브를 밟지 않았다’는 답변에 진실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하지만 경찰은 비록 작업 인부들 중 누군가 과실로 밸브를 밟았다고 하더라도 밸브 위치를 사전에 알리지 않은 공무원들의 안전불감증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사고 발생 후 상황보고를 전혀 하지 않는 등 비상사태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도 마련하지 않아 사태가 커졌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당시 상황이 수도법에 따라 수돗물 공급을 즉각 정지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경찰은 공사 전 밸브에 대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매뉴얼에 따른 행동을 하지 않은 공무원들을 직무태만 혐의로 광주시에 기관통보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5월 12일 오전 8시께 광주 동구 용연정수사업소에서는 응집제 투입 밸브가 열리면서 강산성 응집제가 과다 투입되면서 수돗물 공급이 5시간 가량 중단되고, 광주천 물고기 수천마리가 집단 폐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경찰은 오염된 수돗물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증명이 없고 누가 응집제 투여 밸브를 오작동시켰는지 확인하지 못해 수사를 종결했다.
광주 동부경찰서는 3일 광주 동구 용연정수장 수돗물 오염사고와 관련해 정수사업소장과 정수팀장 등 공무원 8명과 공사 관계자 4명 등 총 12명을 상대로 응집제 투여 밸브 오작동 여부를 조사했으나 정확한 원인이 확인되지 않아 내사 종결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거짓말탐지기까지 동원해 당시 정수장 실험실 근무자 2명과 작업 인부 3명에 대해 조사했으나 ‘밸브를 밟지 않았다’는 답변에 진실반응이 나왔다고 전했다.
하지만 경찰은 비록 작업 인부들 중 누군가 과실로 밸브를 밟았다고 하더라도 밸브 위치를 사전에 알리지 않은 공무원들의 안전불감증은 심각한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특히 사고 발생 후 상황보고를 전혀 하지 않는 등 비상사태 발생에 따른 대응 매뉴얼도 마련하지 않아 사태가 커졌다고 밝혔다.
한편 경찰은 당시 상황이 수도법에 따라 수돗물 공급을 즉각 정지해야 하는 긴박한 상황은 아니었다고 밝혔다.
경찰은 공사 전 밸브에 대한 안전조치를 하지 않고 매뉴얼에 따른 행동을 하지 않은 공무원들을 직무태만 혐의로 광주시에 기관통보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5월 12일 오전 8시께 광주 동구 용연정수사업소에서는 응집제 투입 밸브가 열리면서 강산성 응집제가 과다 투입되면서 수돗물 공급이 5시간 가량 중단되고, 광주천 물고기 수천마리가 집단 폐사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