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재가동이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지난 4일 “비상발전기 고장에 따른 전력공급 사고로 가동이 중지됐던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 안전하다고 판단, 재가동을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원안위는 “그동안 전력계통·쟁점설비·장기가동에 따른 주요설비·제도개선 4개 분야로 구분해 점검한 결과, 종합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결론났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 2월 9일 발생한 고리 1호기 정전사고를 은폐하다가 해당 사실이 알려지자, 한 달이 지난 3월 12일 원안위에 보고했다.
이에 원안위는 고리 1호기 사용을 정지토록 조치한 뒤 3개월 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실시하는 안전점검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간특별위원회의 점검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이번 원안위의 승인만으로 고리 1호기가 근시일래 재가동에 들어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부산 등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리 1호기 재가동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자 지식경제부는 지역 주민들과 충분한 소통을 한 후 재가동에 들어가겠다며 한 발 물러선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고리 1호기 재가동과 관련해 지난 6~7일 부산시와 고리원전을 방문해 기장군, 울주군 주민대표 70명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홍 장관은 “고리 1호기가 지난 4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재가동 허용 결정으로 법적으로는 가동이 가능하지만 지역주민들에게 안전점검 과정과 결과를 충분히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 절차를 거친 후 재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주민대표들은 주민 추천전문가와 기관이 참여하는 재점검을 요구하는 한편 원전과 주변지역이 상생 발전하고 안심하게 살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홍 장관은 “지역주민들과 충분히 소통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재가동은 없다”며 “각종 개선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주민 입장에서 직접 챙기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는 지난 4일 “비상발전기 고장에 따른 전력공급 사고로 가동이 중지됐던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 안전하다고 판단, 재가동을 승인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원안위는 “그동안 전력계통·쟁점설비·장기가동에 따른 주요설비·제도개선 4개 분야로 구분해 점검한 결과, 종합적으로 안전성이 확보된 것으로 결론났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은 지난 2월 9일 발생한 고리 1호기 정전사고를 은폐하다가 해당 사실이 알려지자, 한 달이 지난 3월 12일 원안위에 보고했다.
이에 원안위는 고리 1호기 사용을 정지토록 조치한 뒤 3개월 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에서 실시하는 안전점검과 민간 전문가들로 구성된 민간특별위원회의 점검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이번 원안위의 승인만으로 고리 1호기가 근시일래 재가동에 들어가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부산 등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거세기 때문이다. 이처럼 고리 1호기 재가동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자 지식경제부는 지역 주민들과 충분한 소통을 한 후 재가동에 들어가겠다며 한 발 물러선 모습을 보이고 있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고리 1호기 재가동과 관련해 지난 6~7일 부산시와 고리원전을 방문해 기장군, 울주군 주민대표 70명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홍 장관은 “고리 1호기가 지난 4일 원자력안전위원회의 재가동 허용 결정으로 법적으로는 가동이 가능하지만 지역주민들에게 안전점검 과정과 결과를 충분히 설명하는 등 적극적인 소통 절차를 거친 후 재가동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주민대표들은 주민 추천전문가와 기관이 참여하는 재점검을 요구하는 한편 원전과 주변지역이 상생 발전하고 안심하게 살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을 요구했다.
홍 장관은 “지역주민들과 충분히 소통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재가동은 없다”며 “각종 개선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주민 입장에서 직접 챙기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