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부터 위급한 상황에서 스마트폰 외부에 있는 버튼만 누르면 바로 112에 신고되는 ‘원터치 신고서비스’가 시행된다.
행정안전부는 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 서비스’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케이티테크, 모토로라 코리아, 소니 모바일 코리아, HTC 코리아 등 국내외 7개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올해 10월 이후 출시되는 스마트폰에 ‘원터치 신고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기로 했다.
행안부와 경찰청은 지난해 4월부터 위급한 상황에서 어린이나 여성 등을 보호하기 위해 ‘SOS 국민안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SOS 국민안심 서비스’는 휴대폰, 스마트폰, 전용단말기를 이용한 말없는 신고를 통해 신속하게 112신고센터나 보호자에게 긴급상황과 신고자 위치정보를 제공해 범인 검거, 신고자 구조가 가능토록 한 시스템이다.
현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는 단축버튼을 이용해 신속하게 경찰에 신고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잠금 기능이 가동 중일 때에는 화면을 여러 번 터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스마트폰 화면을 열지 않고 특정 외부버튼을 3초 이상 눌러 신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기능을 업체별로 살펴보면 삼성전자, 팬택, 케이티테크, 모토로라, HTC 등 4개 업체 스마트폰은 기기 외부에 있는 볼륨 상하 버튼을, LG전자와 소니모바일 기기는 전원버튼과 볼륨버튼을 동시에 3초간 누르면 바로 신고가 가능하다.
내년 1월부터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112 긴급신고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 서비스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IT기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민간기업과도 협력해 ‘SOS 국민안심서비스’를 더욱 진화된 사회안전망으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고로 SOS 국민안심서비스는 지난해 4월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후 올해 6월까지 24건의 실적(성추행 등 19건, 미아 구조 등 5건)을 거두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5일 정부중앙청사에서 국내외 스마트폰 제조업체와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 서비스’에 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으로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케이티테크, 모토로라 코리아, 소니 모바일 코리아, HTC 코리아 등 국내외 7개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올해 10월 이후 출시되는 스마트폰에 ‘원터치 신고 서비스’ 기능을 탑재하기로 했다.
행안부와 경찰청은 지난해 4월부터 위급한 상황에서 어린이나 여성 등을 보호하기 위해 ‘SOS 국민안심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SOS 국민안심 서비스’는 휴대폰, 스마트폰, 전용단말기를 이용한 말없는 신고를 통해 신속하게 112신고센터나 보호자에게 긴급상황과 신고자 위치정보를 제공해 범인 검거, 신고자 구조가 가능토록 한 시스템이다.
현재 일반 휴대전화 사용자는 단축버튼을 이용해 신속하게 경찰에 신고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 사용자의 경우 잠금 기능이 가동 중일 때에는 화면을 여러 번 터치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스마트폰 화면을 열지 않고 특정 외부버튼을 3초 이상 눌러 신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기능을 업체별로 살펴보면 삼성전자, 팬택, 케이티테크, 모토로라, HTC 등 4개 업체 스마트폰은 기기 외부에 있는 볼륨 상하 버튼을, LG전자와 소니모바일 기기는 전원버튼과 볼륨버튼을 동시에 3초간 누르면 바로 신고가 가능하다.
내년 1월부터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112 긴급신고 앱’을 다운받아 설치하면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맹형규 행안부 장관은 “스마트폰 원터치 신고 서비스가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새로운 IT기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민간기업과도 협력해 ‘SOS 국민안심서비스’를 더욱 진화된 사회안전망으로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참고로 SOS 국민안심서비스는 지난해 4월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후 올해 6월까지 24건의 실적(성추행 등 19건, 미아 구조 등 5건)을 거두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