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길 교통사고는 7월에 빈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간보다는 야간에 빗길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로교통공단이 빗길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발생한 빗길 교통사고는 총 6만232건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1,745명이 사망하고 9만8,660명이 부상을 당했다.
빗길 교통사고는 여름 장마철인 6~8월에 전체의 40%(2만4,430건)가 발생했다. 그 중에서도 7월이 1만903건(18.1%)으로 가장 많았다.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2.9명으로 맑은 날 2.3명 보다 1.3배 높았다. 특히 맑은 날 교통사고는 주간(53.1%)이 야간(46.1%)보다 많았지만 빗길 교통사고는 야간(59.8%)이 주간(40.2%)보다 더 많았다.
사고유형별로는 빗길에서의 차대사람 사고의 횡단중사고, 차대차 사고의 정면충돌 및 추돌사고, 차량단독 사고의 공작물 충돌사고가 맑은 날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했다. 도로 종류별로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사고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빗길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비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고, 노면이 젖으면서 도로 환경이 열악해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김태정 통합DB처장은 “빗길에는 도로가 미끄러워 맑은 날 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진다”며 “앞차와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고 속도를 평소보다 20%이상 줄여 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빗길 교통사고는 주간보다 야간에 많이 발생하는 만큼 빗길 야간운전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도로교통공단이 빗길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발생한 빗길 교통사고는 총 6만232건으로 조사됐다. 이로 인해 1,745명이 사망하고 9만8,660명이 부상을 당했다.
빗길 교통사고는 여름 장마철인 6~8월에 전체의 40%(2만4,430건)가 발생했다. 그 중에서도 7월이 1만903건(18.1%)으로 가장 많았다.
빗길 교통사고 치사율(교통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은 2.9명으로 맑은 날 2.3명 보다 1.3배 높았다. 특히 맑은 날 교통사고는 주간(53.1%)이 야간(46.1%)보다 많았지만 빗길 교통사고는 야간(59.8%)이 주간(40.2%)보다 더 많았다.
사고유형별로는 빗길에서의 차대사람 사고의 횡단중사고, 차대차 사고의 정면충돌 및 추돌사고, 차량단독 사고의 공작물 충돌사고가 맑은 날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했다. 도로 종류별로는 고속국도와 일반국도 사고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빗길에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이유는 비로 인해 시야가 흐려지고, 노면이 젖으면서 도로 환경이 열악해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김태정 통합DB처장은 “빗길에는 도로가 미끄러워 맑은 날 보다 제동거리가 길어진다”며 “앞차와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고 속도를 평소보다 20%이상 줄여 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그는 “빗길 교통사고는 주간보다 야간에 많이 발생하는 만큼 빗길 야간운전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