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등 대형재해에서 난간 추락 등 생활안전사고까지 대비

서울시가 시민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대대적인 도시안전 마스터플랜(종합계획) 설계에 나선다.
서울시는 내년까지 산사태 등 대형 자연재난부터 난간에서의 추락사고 등 생활안전사고까지 모든 재해의 예방법과 대응 방안을 담은 마스터플랜을 세우기로 했다고 1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우선 이달 중 시민 1,000여명을 대상으로 안전의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고 분야별 공청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이런 공청회 등을 통해 시는 시민들이 생활 속에서 느끼는 위험요소와 불안감을 분석, 안전복지정책 우선순위를 결정할 방침이다.
마스터플랜에서 중점적으로 다룰 재난·안전사고 유형은 ▲자연재해 ▲인적재난 ▲감염·전염병 확산 ▲생활안전사고 등으로 알려졌다.
각 유형의 세부 종류를 살펴보면 먼저 자연재해는 수해, 사면 재해, 강풍, 폭설, 폭염, 지진 등이며 인적재난은 화재, 건축물 붕괴, 폭발 등 위험물 사고, 산불 등이다. 생활안전사고는 교통사고, 지하철사고, 자전거사고, 추락, 감전, 수난사고, 산악사고 등이다.
여기에 더해 시는 학계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 저명한 도시안전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바탕으로 시청사나 물재생센터 등 기반시설 마비, 방사능 유출 등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방안도 세운다.
이밖에 시는 미국 지방정부의 위험완화정책과 일본 도쿄도의 재난대응 관련 종합계획 등 외국 사례도 분석, 마스터플랜에 반영할 예정이다.
서울시 도시안전과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 풍수해 등 일부 재난에만 초점을 맞춘 중장기 계획을 보완해 재난관리를 총괄하는 마스터플랜의 설계를 준비하고 있다”면서 “향후에는 재난재해대응방식도 사후관리 위주에서 사전예방으로 바꿔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2억5,000만원을 들여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학술용역을 시정개발연구원에 의뢰하는 한편 마스터플랜의 효과적인 시행을 위해 도시안전실을 마스터플랜의 총괄부서로 지정하고 조만간 조직 및 관리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마스터플랜은 매 10년 단위로 수립하는 게 원칙이지만 시는 기후 등 여건 변화에 따라 5년마다 재정비할 계획이다.
향후 수립되는 마스터플랜은 주택을 짓거나 새로 제공하는 복지 서비스 등 모든 시책의 도입 단계에서부터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지침이 된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