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은 정부계약·납품과정에서 중소기업들이 불필요하게 인증이나 시험검사를 받지 않도록 인증제도 개선방안을 마련, 추진하겠다고 13일 발표했다.
조달청은 그동안 조달물자의 품질, 안전, 건강, 환경 측면에서 우수한 제품을 산업현장에 공급하기 위해 KS, KC 등 여러 인증제도를 활용해 왔다. 하지만 지난 2월 인증제도 운영실태 조사결과 여러 문제점이 발견됐고, 이에 이번에 인증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먼저 조달청은 조달제도에서 요구되는 각종 인증부담의 완화를 추진키로 했다. 대표적으로 조달시장진입 시 인증평가 방법을 개선해 기업이 여러 인증을 중복적으로 취득하기 위해 투입하는 시간과 비용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안전, 환경, 품질 등 분야별로 여러가지 인증을 보유해야 만점을 받을 수 있었으나 분야별 하나의 인증만 보유해도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것이 그 골자다.
아울러 조달청은 품질관리가 우수한 조달업체에게는 납품검사 등 각종 검사를 면제하는 한편 시험검사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고 검사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조달청의 한 관계자는 “조달품목이 30여만 개에 달하는 상황에서 인증제도 개선문제는 각 부처·여러 인증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라며 “조달과정에서 안전하고 우수한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인증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올 하반기까지 의견수렴을 거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달청은 그동안 조달물자의 품질, 안전, 건강, 환경 측면에서 우수한 제품을 산업현장에 공급하기 위해 KS, KC 등 여러 인증제도를 활용해 왔다. 하지만 지난 2월 인증제도 운영실태 조사결과 여러 문제점이 발견됐고, 이에 이번에 인증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먼저 조달청은 조달제도에서 요구되는 각종 인증부담의 완화를 추진키로 했다. 대표적으로 조달시장진입 시 인증평가 방법을 개선해 기업이 여러 인증을 중복적으로 취득하기 위해 투입하는 시간과 비용부담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안전, 환경, 품질 등 분야별로 여러가지 인증을 보유해야 만점을 받을 수 있었으나 분야별 하나의 인증만 보유해도 만점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한다는 것이 그 골자다.
아울러 조달청은 품질관리가 우수한 조달업체에게는 납품검사 등 각종 검사를 면제하는 한편 시험검사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고 검사절차를 간소화할 계획이다.
조달청의 한 관계자는 “조달품목이 30여만 개에 달하는 상황에서 인증제도 개선문제는 각 부처·여러 인증기관과 공동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라며 “조달과정에서 안전하고 우수한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인증제도를 마련하기 위해 올 하반기까지 의견수렴을 거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