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약근로자들에게 스트레스 관리·상담 등 제공
지금까지 중증 정신질환자의 입원 치료 중심으로 운영됐던 국립정신병원이 근로자 건강관리 교육 등을 맡는 지역사회 정신보건기관으로 전면 개편된다. 보건복지부는 이같은 계획을 확정해 지난 18일 발표했다. 지금까지 국립서울병원과 춘천병원, 공주병원, 나주병원, 부곡병원 등 5개 정신병원의 주된 임무는 권역별로 중증정신질환자들을 입원치료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앞으로 이들 5개 병원은 각각 서울·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 권역기관(가칭)으로 개편되고, 권역내 정신건강 관련 자원을 연계해 정신건강사업을 지원하는 거점 기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번에 발표된 계획을 상세히 살펴보면, 현재 3천여 개인 5개 국립정신병원의 병상수가 50% 수준으로 축소된다. 대신 축소된 병상과 병원내 유휴시설들은 지역내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시설로 활용된다.
세부적으로는 일반 기업체 및 공공기관 근로자에게 정신건강 교육 및 상담이 실시될 예정이다. 특히 중소기업과 취약근로자를 위한 심리안정, 스트레스 관리·상담 등이 중점적으로 펼쳐진다. 이와 함께 군인·경찰·소방관 등 특수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도 근로자와 동일한 형태의 정신건강관리서비스가 제공된다.
또 학교폭력 가해·피해자 치료센터, 청소년 인터넷 중독 치료센터 등이 운영되며, 자폐증 등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재활서비스도 제공된다.
복지부의 한 관계자는 “우울증 환자 및 자살자의 증가 등 국민들의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한 수준인데도 지역사회에 이를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의료체계가 거의 없다”며 “국립정신병원을 개편해 지역 정신건강 서비스 제공의 거점기관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