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중·대형건물의 화재관리가 시간이 갈수록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지난해 전국의 11층 이상 건물 및 3,000㎡이상의 공장 등 특수건물 30,108곳에 대해 화재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특수건물 방화시설의 양호율은 평균 81.6%로서 전년(80.5%) 대비로는 1.1%P, 10년전(72.3%)과 비교해 볼 때는 9.3%P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형 건축물의 화재관리 상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방화시설별로 보면 소화활동설비의 양호율이 98.8%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도 발화위험시설 95.9%, 피난설비 92.4% 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연소확대 방지시설과 방화관리 부문은 각각 55.6%, 48.0%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화재보험협회의 한 관계자는 “건물 용도변경 등으로 방화구획을 훼손하는 경우 이에 대한 규제가 없어 방화구획 유지 관리가 곤란하다”라며 “이 때문에 연소확대 방지시설의 양호율이 저조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방화관리 양호율이 낮게 나온 것은 방재교육 및 훈련의 미흡으로 건물관계자의 화재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특수건물의 업종별 양호율은 철도(97.9%), 사격(92.6%), 공연장(88.2%) 순으로 집계됐다. 공장(78.6%), 판매시설(78.8%), 다중이용시설(79.9%)은 상대적으로 낮은 양호율을 보였다.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이번 안전점검 결과분석을 토대로, 일부 소화시설의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개정을 관련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근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지난해 전국의 11층 이상 건물 및 3,000㎡이상의 공장 등 특수건물 30,108곳에 대해 화재안전점검을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특수건물 방화시설의 양호율은 평균 81.6%로서 전년(80.5%) 대비로는 1.1%P, 10년전(72.3%)과 비교해 볼 때는 9.3%P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대형 건축물의 화재관리 상태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이다.
방화시설별로 보면 소화활동설비의 양호율이 98.8%로 가장 높았다. 그 외에도 발화위험시설 95.9%, 피난설비 92.4% 등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연소확대 방지시설과 방화관리 부문은 각각 55.6%, 48.0%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관련해 화재보험협회의 한 관계자는 “건물 용도변경 등으로 방화구획을 훼손하는 경우 이에 대한 규제가 없어 방화구획 유지 관리가 곤란하다”라며 “이 때문에 연소확대 방지시설의 양호율이 저조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방화관리 양호율이 낮게 나온 것은 방재교육 및 훈련의 미흡으로 건물관계자의 화재안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특수건물의 업종별 양호율은 철도(97.9%), 사격(92.6%), 공연장(88.2%) 순으로 집계됐다. 공장(78.6%), 판매시설(78.8%), 다중이용시설(79.9%)은 상대적으로 낮은 양호율을 보였다.
한국화재보험협회는 이번 안전점검 결과분석을 토대로, 일부 소화시설의 국가화재안전기준의 개정을 관련부처에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