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건설사들의 산업재해 발생률은 중·소규모 건설사에 비해 크게 낮은 편이다. 이는 자체적으로 철저한 안전관리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대한산업안전협회 등 민간재해예방기관의 컨설팅 사업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대한산업안전협회의 건설안전 컨설팅은 단순히 재해를 예방하는 관리 차원에 그치지 않는다. 건설업체 안전부서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근로자들의 안전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능동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토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행되는 컨설팅 기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전시스템 정착 및 실행력 확보를 위한 방안 도출 △불안전한 상태 제거 △점검결과에 따른 문제점 제기 및 대책 수립 △전문적인 교육 및 강평 △지속적으로 개선여부 확인 △공사현장별 평가를 통한 우수현장 발굴 등이다.
대한산업안전협회 건설컨설팅팀의 한 관계자는 “현대, GS, SK 등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협회의 컨설팅을 통해 현장의 안전을 더욱 확보해 나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근로자들의 안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컨설팅 기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여기에는 대한산업안전협회 등 민간재해예방기관의 컨설팅 사업도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특히 대한산업안전협회의 건설안전 컨설팅은 단순히 재해를 예방하는 관리 차원에 그치지 않는다. 건설업체 안전부서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근로자들의 안전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능동적인 안전관리가 가능토록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행되는 컨설팅 기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안전시스템 정착 및 실행력 확보를 위한 방안 도출 △불안전한 상태 제거 △점검결과에 따른 문제점 제기 및 대책 수립 △전문적인 교육 및 강평 △지속적으로 개선여부 확인 △공사현장별 평가를 통한 우수현장 발굴 등이다.
대한산업안전협회 건설컨설팅팀의 한 관계자는 “현대, GS, SK 등 국내 주요 건설사들이 협회의 컨설팅을 통해 현장의 안전을 더욱 확보해 나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근로자들의 안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컨설팅 기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