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검사 대상 가운데 67% 부적합 판정
전국 승강기의 안전상태가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정밀검사를 받은 승강기 10대 중 7대 정도가 성능이 불량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민주통합당 백재현 의원이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전국 266개 지자체의 승강기 정밀안전검사 결과, 지난해 검사가 이뤄진 12,305개의 승강기 중 8,262개(67%)가 운행에 부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충남 태안, 경북 김천 등 19개 지자체는 부적합률이 100%에 달했다. 90% 이상의 승강기가 적합 판정은 받은 곳은 강원 고성군, 경북 청도군, 부산 강서구, 경남 남해군, 경기 여주군, 전남 영암군 등 6곳에 불과했다. 즉 지자체별로 승강기 안전도에 차이가 심각한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참고로 정밀안전검사 대상은 결함 원인이 불명확하거나 중대한 사고가 난 승강기, 설치된 지 15년이 경과한 승강기 등이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승강기는 2개월 내 교체·보수 등의 조치를 받은 뒤 승안원의 재검사를 받아야 한다. 재검사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면 운행이 중단된다.
백재현 의원은 “1980년대 말 신도시 개발 붐이 불면서 대규모로 설치된 승강기가 점점 노후화 되고 있다”며 “15년 이상 노후 증강기가 해마다 증가하는 현실에 대비해 승강기 및 부품에 대한 안전성과 위험요소를 검증하기 위한 절차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