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자동비상제어장치 등 의무화 추진
정부가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첨단안전장치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교통사고 예방효과가 우수한 첨단안전장치에 대한 시연회를 실시했다고 지난달 26일 밝혔다.
국토부는 지난 2009년 12월부터 66억5,000만원을 투입해 첨단안전 자동차의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에 매진해 왔다.
이날 시연회에서는 자동비상제동장치가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는 대형 승합 또는 화물자동차가 운행 중일 때 전방에 고장으로 정지해 있거나 서행하는 자동차를 운전자가 미처 발견하지 못해 충돌하게 되는 위험한 상황에서 운전자를 대신해 자동차가 스스로 급제동함으로써 대형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장치다.
시연 결과 자동비상제동장치는 시속 15km 이상에서 레이더 센서로 전방 상황을 모니터링해 운전자를 대신해 위험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이 자리에서는 차로이탈경고장치, 사각지역 감지장치, 추돌감응 능동형 머리지지대, 긴급구난체계(자동응급통화시스템) 등 각종 첨단안전 장치가 소개됐다.
정부는 이처럼 지능형 기술이 교통사고 예방에 큰 효과를 보일 것으로 판단하고 앞으로 사고예방, 충돌완화, 충돌회피 등의 기능이 있는 첨단안전 기술을 적극 개발·활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7년까지 총 14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추가로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국토부는 또 자동비상제동장치 및 차로이탈경고장치를 대형버스 및 화물자동차에 2015년부터 의무 정착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교통안전공단 자동차안전연구원의 한 관계자는 “이번 시연회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각종 첨단 안전장치는 사고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다”라며 “특히 대형사고가 발생하기 쉬운 승합차, 화물차 등에 이 장치들이 적용될 경우 운전 중 부주의로 인한 교통사고 사상자는 큰 폭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참고로 유엔의 자동차관련 자료 등에 따르면 첨단안전 장치에 의한 교통사고 사망자 감소효과는 자동비상제동장치 18%, 차로이탈경고장치 12%, 긴급구난체계 10% 등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EU에서는 내년부터 이들 장치를 의무화할 예정이며 미국, 일본 등도 첨단안전 장치 개발·보급을 위한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