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에는 폭염, 호우, 태풍, 물놀이 사고에 특히 주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방방재청은 ‘8월 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을 발표하고 이 같은 재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먼저 최근 전국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폭염의 경우 지난 2년(2010~2011년)간 총 898명의 온열환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14명은 목숨을 잃기도 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월별로는 8월에만 7명이 사망해 가장 많았고, 연령층은 60세 이상이 8명(57.1%), 장소별로는 농경지·작업장 등 야외에서 11명(78.6%)이 발생했다.
폭염 특보 발령 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 환기를 자주하는 한편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대목이다.
호우와 태풍은 최근 10년간 8월에만 호우 19회, 태풍 4회 등 총 23회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306명의 인명피해와 6조8,357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해위험지구, 대규모 공사장, 저지대·상습침수지역 등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정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산간계곡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은 사전 주민대피체계를 구축해 인명·재산 피해 예방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한편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사망자는 최근 3년(2009~2011년)간 8월에만 107명이 발생했다. 이는 전체 사망자(178명)의 60.2%에 해당하는 수치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본격적인 휴가철인 8월에는 하천·해수욕장 등 물놀이 현장을 중심으로 지자체, 안전관리요원의 감시·순찰활동을 강화할 것”이라며 “피서객에 대해서는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현장계도를 집중 실시하는 등의 사고예방을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소방방재청은 ‘8월 재난종합상황 분석 및 전망’을 발표하고 이 같은 재난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먼저 최근 전국에 걸쳐 나타나고 있는 폭염의 경우 지난 2년(2010~2011년)간 총 898명의 온열환자가 발생했다. 이 가운데 14명은 목숨을 잃기도 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월별로는 8월에만 7명이 사망해 가장 많았고, 연령층은 60세 이상이 8명(57.1%), 장소별로는 농경지·작업장 등 야외에서 11명(78.6%)이 발생했다.
폭염 특보 발령 시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 환기를 자주하는 한편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대목이다.
호우와 태풍은 최근 10년간 8월에만 호우 19회, 태풍 4회 등 총 23회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306명의 인명피해와 6조8,357억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재해위험지구, 대규모 공사장, 저지대·상습침수지역 등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정비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산간계곡 등 인명피해 우려지역은 사전 주민대피체계를 구축해 인명·재산 피해 예방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한편 여름철 물놀이 안전사고 사망자는 최근 3년(2009~2011년)간 8월에만 107명이 발생했다. 이는 전체 사망자(178명)의 60.2%에 해당하는 수치다.
소방방재청의 한 관계자는 “본격적인 휴가철인 8월에는 하천·해수욕장 등 물놀이 현장을 중심으로 지자체, 안전관리요원의 감시·순찰활동을 강화할 것”이라며 “피서객에 대해서는 안전의식 제고를 위한 현장계도를 집중 실시하는 등의 사고예방을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