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가운데 4명은 직장 내 라이벌이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취업포털 S사가 전국 직장인 1,6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1%가 ‘직장 내 라이벌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43.3%로 여성(37.2%)보다 많았다.
라이벌로 생각하는 대상으로는 동기가 42.4%로 가장 많았고, 직속 상사(29.9%), 선배(18,9%), 부하직원·후배(13.8%), 일반 상사(13.7%) 등의 순이었다.
라이벌 의식을 가장 많이 느낄 때는 67.6%가 ‘업무 성과’를 꼽았다. 이어서는 ‘대인관계 능력’(35.5%), ‘회사·일에 대한 열정’(23%), ‘성격’(14.7%), ‘외국어 능력’(14.5%), ‘명석한 두뇌’(14.2%), ‘참신한 아이디어’(12.4%), ‘경제적 능력’(11.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라이벌 존재가 직장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업무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34.5%)거나 ‘자기개발에 자극이 된다’(20.8%),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된다’(10.8%) 등 긍정적인 답변이 주를 이뤘다.
취업포털 S사가 전국 직장인 1,67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1%가 ‘직장 내 라이벌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43.3%로 여성(37.2%)보다 많았다.
라이벌로 생각하는 대상으로는 동기가 42.4%로 가장 많았고, 직속 상사(29.9%), 선배(18,9%), 부하직원·후배(13.8%), 일반 상사(13.7%) 등의 순이었다.
라이벌 의식을 가장 많이 느낄 때는 67.6%가 ‘업무 성과’를 꼽았다. 이어서는 ‘대인관계 능력’(35.5%), ‘회사·일에 대한 열정’(23%), ‘성격’(14.7%), ‘외국어 능력’(14.5%), ‘명석한 두뇌’(14.2%), ‘참신한 아이디어’(12.4%), ‘경제적 능력’(11.8%) 등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장인들은 라이벌 존재가 직장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봤다. ‘업무 성과 향상에 도움이 된다’(34.5%)거나 ‘자기개발에 자극이 된다’(20.8%),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된다’(10.8%) 등 긍정적인 답변이 주를 이뤘다.
저작권자 © 안전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